-
1. 정의
- 물(物)의 흐름(流)을 뜻하며, 물품의 흐름에 관한 경제활동으로서 생산된 제품을 소비자에게 이동시키는 과정과 관련한 운송, 보관, 하역, 포장 및 정보활동을 통칭함
(1) 미국
- 미국 마케팅협회(1948, AMA :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 생산 단계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정보를 포함한 제품의 이동 및 취급을 관리 하는 것. 즉, 제품 및 서비스가 최초 생산자부터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물리적인 흐름과 관련한 활동
- 국가물류관리협의회(1960, NCPDM : National Council of Physical Distribution Management) : 완제품을 생산라인의 종점에서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는 것 - 로지스틱스관리협의회(1985, NCLM : National Council of Logistics Management) : 원자재 조달에서 생산 과정을 거쳐 완제품이 최종 소비 지점에 이르기까지의 활동
- 결국 미국에서는 주로 개별기업의 마케팅 관점에서 물류를 마케팅 분야의 하부활동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판매물류에 중점을 둔 Physical Distribution에서 추후 원자재 조달까지 포함하는 Logistics 개념으로 확대
(2) 일본
- 1956년 미국에 파견된 일본 생산성본부가 물류를 “유통기술”이라는 용어로 도입
- 1961년 유통기술이라는 용어를 Physical Distribution의 앞글자를 따서 PD로 명명하다가 추후 “물적유통”에서 “물류”로 개칭
- 산업구조심의회 : 유․무형의 물리적인 제품 공급업자로부터 수요자에 이르는 실물적인 흐름이며, 구체적으로 수송, 보관, 하역, 포장 및 정보 등으로 이루어진 제반활동
- 통계심의회 : 물리적 및 사회적인 물(物)의 흐름에 관한 경제활동으로 물자유통과 정보유통이 포함
* 한국에서는 1980년대 “유통근대화촉진법(현재 유통산업발전법)”이 제정되고, 1990년대 이후 항만, 공항 등 인프라의 정비와 복합물류터미널 및 종합물류 단지 조성과 공동물류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물류 관심 급증
* 물류의 발전과정 : Physical Distribution → Logistics → SCM
2. 물류의 목적
- 물류는 제품의 시간적, 공간적 차이를 극복하는 수단으로 저비용으로 고객을 만족시키는 서비스 제공
- 물류합리화, 효율화, 최적화를 통해 기업의 물류비를 낮추고 판매 증대를 통한 기업의 수익 증대
- 다품종 소량생산과 다빈도 소량배송의 환경 하에서 물류합리화를 통해 새로운 이윤 창출(제3의 이윤원)
3. 물류의 원칙
- 3S 1L : Speedy, Low, Safely, Surely를 통한 고객서비스 증진
- 7R : Right Commodity, Right Quality, Right Quantity, Right Time, Right Place, Right Impression, Right Price
* 5S : Service, Speed, Space Saving, Stock Minimum, Scale Optimization
4. 물류의 하부구조(활동)
- 운송(수배송) 활동: 운송수단에 의한 화물의 장소적 이동을 말하며, 물류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보관 활동 : 화물을 물리적으로 보존하는 것으로 생산과 소비의 기간적 차이를 극복하며, 최근에는 물류센터(창고)에서 고객서비스 기능까지 포함. 보관시설을 제공하는 활동과 설비를 이용하는 활동
- 하역 활동 : 운송과 보관 사이의 활동으로 상하차, 이동, 분류, 피킹까지 포함
- 포장 활동 : 생산의 마지막이자 완제품 운송의 출발로서 포장방법에 따라 운송 및 보관에 영향을 미치므로 물류비 절감의 수단
- 정보 활동 : 무형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며, 운송, 보관, 하역, 포장 전반에 걸쳐 존재
* 유통가공 활동 : 원자재에 부가가치를 더하여 제품을 만들거나, 고객의 요구에 맞도록 물류센터에서 화물의 재포장 작업, 라벨부착 작업 등이 포함
5. 물류의 영역
- 조달물류 : 필요한 (원)자재가 공급업자에서 출발하여 구매업자의 보관 창고에 입고되는 범위의 물류
- 생산물류 : 자재 창고에서 생산과정을 거쳐 완제품 창고에 입고될 때까지의 모든 활동을 지칭
- 판매물류 : 완제품 창고에서부터 소비자에게 전달될 때까지의 모든 활동을 포함
- 리버스물류
a) 반품 또는 회수물류 : 판매한 제품의 결함이나 상이로 인해 반품되는 활동과 재활용(빈병, 종이) 또는 리콜(전자제품, 자동차) 등의 활동을 말함
b) 폐기물류 : 수명을 다한 제품을 거두어 소각, 매립 등 폐기하는 활동
6. 물류의 기능
- 장소적 기능 : 운송
- 시간적 기능 : 보관
- 수량적 기능 : 포장, 집하 및 배송
- 품질적 기능 : 포장, 유통가공
- 인격적 기능 : 운송, 포장
7. 물류의 관심사
- 물류 아웃소싱 : 물류를 직접 수행하지 않고 전문물류업자(제3자 물류 또는 제4자 물류)를 활용
- SCM(Supply Chain Management) : 현대는 기업간 경쟁이 아닌 channel (또는 network)간 경쟁이므로 중요성 부각
- e-Logistics : 인터넷 기반의 정보 전달을 하기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
- Green Logistics : 환경친화적 물류활동 지향
※ 상류․물류의 분리 원칙
- 상류 : 소유권 흐름, 대금지급 흐름, 정보 흐름, 촉진활동 흐름
- 물류 : 화물의 흐름 - 경영합리화를 위해서는 상물 분리의 원칙이 적용
'물류유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물류사전] V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0) 2025.02.12 [유통물류사전] T, U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0) 2025.02.11 [유통물류사전] S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1) 2025.02.10 [유통물류사전] Q, R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1) 2025.02.09 [유통물류사전] O, P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0) 202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