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통물류사전] Q, R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물류유통용어 2025. 2. 9. 01:18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 국제표준 용어집 

     

    QR (Quick Response)

    신속대응체제. 섬유·의류 부문의 SCM을 지칭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거래업체간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한 정보공유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의 소비패턴에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업무효율 개선 및 비용절감을 달성하고 소비자 가치를 향상시키려는 경영전략이다.

    국내에서는 지난 1999년부터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한국섬유산업연합회가 중심이 되어 QR 시스템 개발 및 운영, 홍보 및 전문 인력 양성, 시범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동 연합회는 또한 효율적인 QR 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직물 e-Catalog를 개발하여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을 연계하는 최적의 협업 네 트워크 건설과 효율적인 마케팅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QR Code

    4각형의 검은색과 흰색 모듈을 방사상으로 조합하여 문자와 숫자를 표시하는 매트릭스형 2차원 바코드. 일본 덴소사가 개발하였으며 일본 알파벳인 간지를 기호가 아닌 문자로 입력하는 기능이 있다.

    세 모서리 부분에 위치 검출 패턴(Position Detection Pattern)이 존재한다. 최대 입력 가능 문자는 4,296개*이며 전방향 판독이 가능하다. 판독 속도도 다른 2차원 바코드보다 월등히 빠르며 데이터 집적도가 커 공간 효율성이 매우 높으나 이미지 스캐너로만 판독이 가능하다. 고속분류, 소형 전자 부품 식별, 각종 고지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오류 정정 수준 7% 기준으로 숫자만 입력할 경우 7,089개, 바이너리 코드의 경우 2,953개, 한글/한자 1,817 문자까지 입력 가능하다.

     

     

    QR코드

     

    Quiet Zone

    바코드 심벌 좌우의 여백공간. 모든 바코드는 첫 번째 바의 앞부분과 마지막 바의 뒷부분에 여백 공간이 있어야 한다. 여백의 크기는 바코드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여백 공간에는 어떤 것도 인쇄되어서는 안 된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반드시 바코드 좌우로 여백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여백을 확보 하는 좋은 방법 중의 하나는 바코드에 코너마크(>, <)를 새겨 넣는 것이다. 이전에는 ‘Clear Area', 'Light Margin'으로 불렸다.

     

     

     

    Receiving

    수령. 자재의 물리적인 인수를 포함하는 기능으로서, 주문서(수량 및 파손)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판정 및 저장 장소로의 배송, 수령보고서 준비로 구성된다.

     

     

    Re-engineering

    리엔지니어링. 기업의 업무 재구축을 뜻하는 말로 각종 권한이양, 인원 감축, 노동자 재교육, 조직개편 등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비용·품질·서비스와 같은 핵심 경영요소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경영과정과 지원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는 기법이다.

     

     

    Refund Receipt

    환불 영수증. 회수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상품 운송 및 포장용 자산(Returnable Asset, (예) 병, 크레이트 (Crate, 운송·포장용의 나무상자) 등)을 취급하는 장비에 의해 발행되는 증표로서 그러한 자산을 반환할 때 제시하면 일정 금액을 환불받을 수 있다.

     

     

    Retailer

    소매업자. 개인용으로 사용하려는 최종 소비자에게 직접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여 소매활동을 하는 유통업자를 지칭한다.

     

     

    RCN (Restricted Circulation Number)

    내부관리자코드. GS1 식별코드 중 하나로 특정 목적을 위해 내부(국가, 기업,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코드이다. 주로 가변규격상품(Variable Measure Trade Item)이나 쿠폰의 식별을 위해 사용된다.

     

     

    RF (Radio Frequency)

    무선주파수. 무선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주파수. 즉 유도체 없이 자유 공간에 전파(電波)되어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주파수로서 10kHz에서 300GHz까지 영역을 가진다. 무선주파수는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음파(Sound Wave)의 주파수 또는 가청 주파수(Audio Frequency)와 대조되는 비가청 주파수이 며 보통 주파수가 낮은 가청 주파수를 의미하는 저주파(Low Frequency)와 대조되는 높은 주파수를 의미 하는 고주파(High Frequency)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데이터인식기술. 무선전파를 이용하여 객체를 자동으로 식별하는 기술을 말한다. 작동 원리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식별코드와 상품정보가 내장된 태그(반도체 집적회로와 안테나로 구성)를 상품에 부착한다.

    ▣ 판독기에서 방출된 특정주파수의 전파가 태그에 닿으면 태그에 입력된 정보가 무선으로 판독기에 전송된다.(단, 태그에 건전지가 내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태그 스스로 전파를 발생시켜 판독기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 판독기는 전송받은 정보를 메인 컴퓨터에 전달하여 처리한다.

     

    RFID는 기존의 자동인식기술(바코드 또는 광학판독장치(OCR) 등)에 비해 다수의 객체를 동시에 식별할 수 있다는 것과 원거리 판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객체마다 고유한 일련번호가 삽입된 태그를 부착하면 재고 관리와 상품추적에 있어서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현재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RFID 적용 사례로는 자동 주차관리, 서적 등의 도난방지시스템, 교통신용카드 등이 있다.*

    * 현재 RFID는 국제표준 제정 작업이 진행 중이다. 핵심은 각 용도별로 주파수를 할당하는 것과 태그에 입력될 데이터의 형식을 정의 하는 것인데 국가간 이해관계가 얽혀있어 진행이 더딘 편이다. RFID 표준 제정 진행 상황은 ISO 홈페이지 또는 autoidcenter.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ISO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We're ISO,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We develop and publish International Standards.

    www.iso.org

     

     

    RMX (RetailersMarketXchange)

    월마트가 주축이 되어 설립된 e-Marketplace. 2000년 12월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카탈로그, 신상품 소개 등의 기능이 있다.

     

     

    ROA (Return On Assets)

    자산수익율. 회사가 주어진 총자산을 수익 창출 활동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하였는가를 측정해 주는 수익성 지표로서 세금차감 후 순이익을 평균총자산으로 나눈 값이다. 총 자산은 보통 취득원가에서 감가상각비를 차감한 가치로 평가하여 기말자산과 기초자산의 평균을 사용한다.

     

     

    ROI (Return On Investment)

    투자회수율.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경영성과 측정기준 중의 하나로, 기업의 순이익을 투자액으로 나누어 구한다. 투자수익률은 원래 미국의 화학회사 듀퐁사에 의해 사업부의 업적을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어, 투자수익률 분석이라는 내부통제기법으로 개발되었다.

    이 분석은 투자수익률이 경영성과의 종합 척도가 된다는 관점에서 투자수익률을 결정하는 요인을 수익성과 회전율로 분해한 다음 각 결정요인의 세부항목에 대한 관리를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회사의 경영성과를 계획·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 분석이 기업전체 경영성과의 계획, 내부통제, 자원배분 결정, 이익예측, 채권자 및 투자자에 의한 기업 경영성과의 평가 등 여러가지 목적에 사용되고 있다.

     

     

    RosettaNet

    e-비즈니스 프로세스 및 언어(Language) 표준의 개발 및 보급을 위해 1998년 설립된 비영리 컨소시엄. 인텔, 모토롤라, 삼성전자 등 전자부품 및 정보통신 관련기업 400여개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거래에 있어 음성, 단어, 문법, 거래절차 등 사전에 약속된 규칙이 필요하듯 시스템과 시 스템 간의 거래인 e-비즈니스에 있어서도 데이터를 표시하는 언어의 종류, 전달 방법, 형식 등 사전에 약 속된 규칙(표준)이 필요하다.

    RosettaNet은 e-비즈니스에 필요한 여러 가지 요소 중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의미를 정의한 사전(Dictionary), 언어의 구성 형식에 해당하는 프레임워크(RosettaNet Implementation Framework), 사용자 인터페이스 (Partner Interface Processes), 그리고 거래 절차 표준의 개발 및 보급 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2002년 8월 GS1 US(舊 UCC)에 흡수·합병되었다.

     

     

    로제타넷의 사업범위

     

    RSS (Reduced Space Symbology)

    GS1 DataBar의 舊 명칭.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