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통물류사전] H, I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물류유통용어 2025. 2. 5. 01:09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 국제표준 용어집 

     

    Hedge

    헤지. 기본 생산 일정 계획에서 불확실한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마련해 놓은 재고의 양으로서 수량 및 시간의 영역을 갖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안전 재고와 비슷하다. 구매에서는 가격변동의 음성적 측면을 제 거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Human Readable Interpretation (HRI)

    육안판독용문자. 바코드에 인코딩되어 있는 사람이 육안으로 읽을 수 있는 형태의 문자(Characters)를 지칭한다.

    즉, 바코드에 인코딩된 데이터를 일대일로 매칭시켜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심벌 체크 캐릭터(Symbol Check Character)를 포함, 시작 문자(Start Characters), 정지 문자(Stop Characters), 시프트(Shift) 및 기능(Function) 문자는 육안판독용문자로 나타나지 않는다.

     

     

    육안판독용문자 예시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전기기술위원회. 전기, 전자 분야의 국제 표준을 개발 보급하는 국제기구이다. 1906년에 설립되었 으며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다. IEC에는 각국 정부기관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 연구소, 학교, 개인도 회원으로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의결권은 정부기관만이 보유한다.

    동 기구는 독자적 표준개발 외에 WTO, ISO 등 다른 국제기구와 공동으로 기술위원회를 설치하여 국제적 호환성을 갖춘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63년에 정회원으로 가입하였으며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이 대표로 참여하고 있다. 

     

     

     

    Indicator

    물류식별자. 거래단품 또는 물류단위에서 포장 단위 또는 입수량의 차이를 구분하는 한 자리의 숫자이다. 1~8까지의 숫자*) 중 하나가 사용된다. 

    * 물류식별자 숫자 9는 포장시마다 양이 일정하지 않은 상품에 사용된다 (예:가스)

     

     

    Interleaved 2 of 5 (ITF)

    ASCII 48~57까지의 문자(0~9까지의 숫자)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1차원 바코드. 1972년 인터맥사에서 개발하였으며 ITF라고도 한다. 5개의 검은 바와 5개의 흰 바의 조합을 통해 숫자를 표시한다. 하나 의 조합이 2개의 숫자를 표시하므로 ITF로 나타내는 수의 자릿수는 반드시 짝수이다. 숫자로 이루어진 데 이터를 표시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Intranet

    인트라넷. 인터넷 기술과 통신규약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업무를 통합하는 정보시스템. 인트라넷은 인터넷 관련 기술과 통신규약을 이용하여 조직내부 업무를 통합하는 정보시스템을 말한다. 인트라넷을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통신망을 구축하지 않더라고 세계 어느 곳에서도 자신이 속한 조직의 정보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고, 거래관계가 있는 다른 조직과의 자료교환도 쉬워져 상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게 된다. 그러한 이유는 인트라넷이 서로 다른 속성을 가지고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조직의 정보시 스템을 하나로 쉽게 통합할 수 있으며, 인터넷이라는 전세계적인 기술표준을 이용하여 간단하고도 폭넒게 적용할 수 있으며, 어떠한 특정 기술이나 특정 컴퓨터에 예속되지 않기 때문이다.

    인트라넷은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큰 성과를 얻을 수 있고, 차세대 정보기술로 빨리 전환할 수 있으며, 조직 내·외부의 정보를 결합하기 쉽다는 장점과 기회를 제공한다. 반면에 아직 은 정보의 보안문제라는 단점도 있다.

     

     

    Inventory

    재고. 물자의 흐름이 시스템 내의 어떤 지점에 정체되어 있는 상태를 시간적 관점에서 파악한 관리개념으로서, 일반적으로 생산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고객으로부터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유지하는 자재들, 즉 원재료, 재공품, 완제품, 부품, 소모품 등을 말한다.

    보유하는 목적에서 볼 때, 불확실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안전재고, 장래에 대비하는 비축재고, 조달은 로트(Lot) 크기로 되었지만 소모는 로트 크기 로 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로트 크기 재고, 대금을 지불한 물품으로 수송 중에 있는 수송 중 재고, 공 정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공정과 공정 사이에 두는 재공품 재고 등이 있다.

     

     

    Inventory Management

    재고관리. 재고통제라고도 한다. 상품이나 소모품 등 장래 얼마만큼의 양을 확보하여 보관하여 두면 좋 은가 미리 결정하여서 이동, 보관, 증감의 기록 등에 의하여 최적으로 유지되도록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본래 물류체계 전체를 통하여 재고의 배분은 물류시스템의 기본이다. 근래에는 재고관리가 과학적으로 이뤄지게 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관리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다.

     

     

    Inventory Turnover

    재고회전. 재고의 회전 횟수와 연간 순환수. 자주 사용되는 재고 회전 계산법으로는 “연간매출액/평균재고수준”이 있다. 예를 들어 평균 재고가 3백만 달러이고 매출액이 2,100만 달러이면 그 재고는 연간 7번 회전하는 것으로 여긴다.

     

     

     

    Invoice

    송장. 판매자와 구매자가 합의한 조건에 따라 공급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대금을 청구하는 문서· 메세지이다.

     

     

    IoT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실세계(Physical World)와 가상 세계(Virtual World)의 다양한 사 물들을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기반 시설. 유비쿼터스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인 프라 컴퓨팅 기기들이 환경과 사물에 심겨 환경이나 사물 그 자체가 지능화되는 것부터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지능 통신을 할 수 있는 엠투엠(M2M: Machine to Machine)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 하여 사물은 물론, 현실과 가상 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 작용하는 개념으로 진화했다.

    사물 인터넷(IoT) 의 주요 기술로는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사물 인터넷 인터페이스 기술, 사물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기술 등이 있다.*

    * 출처 : IT 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IS (Information Systems)

    정보 시스템. 기획, 실행, 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방식으로 조직 내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한다.

     

     

    ISB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국제표준도서번호. 전세계에서 발간되는 각종 도서에 부여되는 표준화된 번호체계를 말한다. 1970년 ISO에 의해 국제표준으로 제정되었으며(ISO 2108), 국제도서번호기구(International ISBN Agency)가 관리를 맡고 있다. 각국의 대표 기관이 가입되어 국가별 도서번호를 관리한다.

    한국은 1990년 국제도서번 호기구에 가입하여 89의 국가번호를 취득하였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도서관 산하 한국문헌번호센터에서 국내 ISBN의 발급 및 관리의 책임을 맡고 있다. 코드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ISBN 코드구조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 상품과 서비스의 국가간 교역을 원활히 하기 위한 표준의 개발과 보급을 맡고 있는 국제기구이다. 각국의 표준화 기구들의 국제적 연합체로서 1947년 설립되었으며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해 있다. 현재 163개국의 표준화 기관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약 3,368개의 기술위원회 (Technical Committee)와 워킹그룹이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19,500종의 표준이 제정되었다.** 산 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이 한국을 대표하여 동 기구에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 원 명칭과 약자가 같지 않음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ISO”가 약자가 아니라 “같은(equal)"의 의미를 지닌 고대 그리스어 "isos"에서 기원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이미 ISO라는 명칭이 굳어져 사용되고 있어 ISO를 국제표준화기구를 일컫는 공식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ISO 홈페이지 참고)

    ** 2014. 12. 31 기준

     

     

    ISSN (International Standard Serial Number)

    국제연속간행물번호. 연속간행물에 부여되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는 일련번호를 말한다. 1975년 국제 표준으로 제정되었으며(ISO 3297) 파리에 본부를 둔 국제 ISSN 센터에서 번호를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0년도에 가입하였으며 국립중앙도서관 산하 한국문헌번호센터에서 보급 및 관리 책임을 맡고 있다. 13자리의 식별코드와 2자리의 부가코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드 구조는 다음과 같다.

     

    ISSN 코드구조

     

    ITF-14

    GTIN-14 코드체계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바코드 심벌. 문자를 표시하는 원리는 Interleaved 2 of 5와 같지만 ITF-14는 특별히 GTIN-14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Interleaved 2 of 5와는 다른 몇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선 자릿수가 14자리로 고정되어 있으며 바코드 심벌의 규격도 정해져 있다. 또한 바코드 심벌 외부를 감싸는 테두리 바가 존재한다. 이는 이 코드가 주로 거친 면에 인쇄되기 때문에 이때 의 판독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기업 간 물류단위(골판지 상자)에 사용되며 상자 면에 직접 인쇄하 거나 스티커로 제작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ITF-14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