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통물류사전] G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물류유통용어 2025. 2. 4. 01:06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 국제표준 용어집 

     

    GCN (Global Coupon Number)

    국제쿠폰코드. 쿠폰을 식별하는 GS1 식별코드이다. GCN은 국가코드, 업체코드, 쿠폰 레퍼런스코드, 체크디지트, 일련번호*의 코드구조를 가지며 응용식별자(AI) 255와 함께 표현한다.

    * GCN에서의 일련번호는 선택사항이며, 숫자로 최대 12자리까지 표현 가능하다

     

     

    GCN 코드구조

     

    GDAS (Global Data Alignment System)

    국제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GS1이 개발, 보급하고 있는 상품정보용 전자카탈로그 표준 데이터 세트를 말한다. 각 국가별 상품 카탈로그의 호환성 확보를 위한 마스터 데이터의 동기화를 목적으로 1999년도에 개발을 시작하여 2000년도에 완료, 배포되었다.

    GDAS를 이용할 경우 기존의 국가별 카탈로그는 독립적으로 계속 운영하면서 인터넷 또는 부가가치통신망(VAN)을 이용 각국의 카탈로그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총 12개 그룹 114개의 데이터 필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테이터 필드는 선택/필수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어, 국가별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라 신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GDS (Global Data Synchronization)

    글로벌 데이터 동기화. 공급망에 참여하는 거래 기업 간에 교환되는 정보를 동일한 데이터 표준 (Common Data Standards)을 사용하여 동기화(Harmonization)하는 것을 말한다. 모든 기업들이 동일한 정보 형식을 사용하여 온라인-오프라인 거래를 함으로써 거래 비용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들이 선행되어야 한다:

    ▣ 소비자 판매 상품 및 물류 단위에 표준식별코드(GTIN) 보급

    ▣ 모든 거래 당사자가 로케이션 코드(GLN) 사용

    ▣ 상품 분류체계(Classification) 확립

    ▣ 거래 정보의 정확한 형식을 정의한 기술서(GDAS)

    ▣ 교환 또는 저장소에 입력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보 인증 시스템

    ▣ 국가단위 또는 지역 단위의 데이터 풀(Data Pool) 구축

    ▣ 데이터 풀(Data Pool)을 연계하여 전 지구적 단위의 정보검색을 가능케 하는 글로벌 정보 중계소 (Registry)

     

     

    GDSN (Global Data Synchronization Network)

    글로벌 데이터 동기화 네트워크. 전 세계 표준 데이터 풀간의 글로벌 연계를 통하여 유통·제조업체간의 국경을 초월한 상품정보와 거래처정보의 교환을 가능케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로서 GS1이 추진하고 있다.

     

     

    GDTI (Global Document Type Identifier)

    국제문서형식식별코드. 문서를 형식별로 식별하는 GS1 식별코드이다. 여기서 '문서‘란 소지자에게 권리(예: 소유증서)나 의무(예: 징집명령)를 부여하는 공적 또는 사적 문서를 통칭한다. 납세통지서, 선적증명서, 보험증권, 내부 송장, 국가 주관 시험지, 여권도 GDTI의 적용 대상이 될 만하다.

    문서의 기록을 꼭 보 관해야 하는 회사나 사업체에게는 GDTI가 유용하다. GDTI는 해당 문서의 ’원본‘을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 스에 들어가는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GDTI는 국가코드, 업체코드, 문서형식코드, 체크디지트, 일련번호*의 코드구조를 가지며 응용식별자(AI) 253과 함께 표현한다.

    * GDTI에서의 일련번호는 선택사항이며,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나타내며 최대 17자리까지 표현 가능하다.

     

     

    GDTI 코드구조

     

    GEPIR (Global Electronic Party Information Registry)

    국제 GS1 회원업체정보 등록소. 각국 GS1 코드관리기관의 회원업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인터넷을 통해 연결하여 자국 및 타 회원국의 업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게 해 주는 서비스이다. (자세한 내용 및 서비스 이용은 아래 홈페이지 참고) 

     

     

    GS1

    The Global Language of Business

    www.gs1.org

     

     

    GIAI (Global Individual Asset Identifier)

    개별자산식별코드. 개별자산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이며 업체코드를 포함하여 최대 30자리이다. 이 코드는 컴퓨터나 책상, 차량, 부품과 같이 회사에서 따로 관리할 필요가 있는 고정된 자산을 식별할 때 쓴다. 자산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수단이 있으면 그것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추적, 관리가 용이하다. 또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자산을 쉽게 검색할 수 있어 현재 용도나 위치, 상태를 파악하고 정비 기록을 갱신하며 재고를 정리하기 편리하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등록하고 사용자 또는 위치를 새로 할당하기에도 좋다.

    GIAI는 자산에 일련번호*를 부여하며 자산유형은 포함하지 않는다. 개별자산에 부여되는 GIAI는 고유한 번호이어야 하며 관리의 용이성을 위하여 연속적으로 번호를 부여한다. GIAI는 국가코드, 업체코드, 개별 자산코드(Individual Asset Reference)의 코드구조를 가지며 응용식별자(AI) 8004와 함께 표현**한다.

    * 1~30자리의 숫자로 업체가 각각의 자산마다 부여하며 0000000,0000001, 0000002, 0000003과 같이 모든 자산에 순차적으로 부여하는 것이 가장 간편한 방법이다.

    ** GIAI는 최대 30자리까지 표현 가능하다

     

    GIAI 코드구조

     

    GID (General Identifier-96)

    기존 코드 체계와는 관계없이 새롭게 정의된 96비트 EPC 코드체계. 2진수로 표시되며 헤더, 업체코드, 상품코드,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GINC (Global Identification Number for Consignment)

    국제탁송화물식별번호. 운송주선인(Forwarder) 또는 운송업자에게 분리하지 말고 한 묶음으로서 운송해 달라고 위탁한 상품군을 식별할 때 쓴다. GINC는 국가코드, 업체코드, 탁송코드의 코드구조를 가지며 응 용식별자(AI) 401과 함께 표현*한다.

    * GINC는 최대 30자리까지 표현 가능하다

     

     

    GINC 코드구조

     

    GLN (Global Location Number)

    글로벌 로케이션(위치) 코드. 전자문서 또는 GS1-128을 이용하여 한 기업의 물리적, 기능적, 법적 실체를 식별할 때 사용되는 13자리 코드이다. 예를 들어 A라는 기업의 제1공장과 제2공장(물리적 실체), 제1 공장 내에서도 영업부와 관리부(기능적 실체), 또는 모기업과 자회사(법적 실체) 등을 따로 구분하여 전자 문서를 보내고자 할 경우 각각의 공장 또는 부서마다 13자리 코드를 부여해서 전자문서의 수신처란에 입 력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국제표준에 의한 업체식별코드라는 개념으로도 통용된다.

     

     

    GLN 코드구조
    GLN 개념도

     

    GMA (Grocery Manufacturers Association)

    북미식료품제조업협회. 북미지역 식음료 및 소비재 제조업체들의 협력 단체. 회원업체 공동의 이익을 위한 로비, 연구, 조사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회원업체들을 대표하여 FDA(Food & Drug Administration : 美 식약청)와 같은 정부 기관을 상대로 로비활동을 벌이며, 최근에는 업무 효율성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표준화, ECR, 전자상거래 등의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조사 및 출판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Consumer Brands Association

    The Consumer Brands Association champions growth and innovation for the industry whose products consumers depend on every day.

    consumerbrandsassociation.org

     

     

    GPC (Global Product Classification)

    GS1 표준 상품 분류 코드. GS1이 개발한 상품 분류 코드로 GDSN의 필수입력 항목이다. 동 코드는 세그먼트(Segment), 패밀리(Family), 클래스(Class), 브릭(Brick)의 총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 UN이 개발한 표준 분류 코드인 UNSPSC와 맵핑 작업이 완료되었다.

     

     

    GPC 구성
    GPC 예시

     

    GRAI (Global Returnable Asset Identifier)

    재활용자산식별코드. 나무 맥주통, 팔레트, 가스 실린더 등 재활용 또는 판매 가능한 자산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이다. 예를 들어 맥주통이 양조업자와 술집 사이에서 배송 및 반환 될 때 보증금 지불 및 반환을 위해 사용된다. 가득찬 맥주통이 배송될 때 보증금이 지불되며, 빈 맥주통이 돌아올 때 보증금은 반환된다.

    GRAI는 단순히 자산 식별 및 추적의 용도로 써도 좋지만 복수의 회사가 공동으로 임대 또는 대여 시스템을 운용할 때 들고나는 자산을 관리하는 용도로 써도 좋다. GRAI는 업체코드, 자산종류(Asset Type), 체크디지트, 일련번호*의 코드구조를 가지며 응용식별자(AI) 8003과 함께 표현된다.

    * GRAI에서의 일련번호는 선택사항이며,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나타내며 최대 16자리까지 표현 가능하다

     

    GRAI 코드구조

     

     

    GSIN (Global Shipment Identification Number)

    국제선적식별번호. 상품의 매도인이 부여하는 번호이다. 운송용 화물의 구성을 세계 어디서나 고유하게 식별하고자 할 때 쓴다. GSIN은 국가코드, 업체코드, 선적식별코드, 체크디지트 코드구조를 가지며 응용 식별자(AI) 402와 함께 표현한다.

     

    GSIN 코드구조

     

    GSMP (Global Standard Management Process)

    국제표준 관리프로세스. GS1 시스템의 효율적 개발과 관리를 위해 전문가 및 일반인이 참여하는 상설 표준 개발 협의체를 말한다. 실제 기업 활동을 가장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최적의 표준을 제공한다는 기치로 GS1(舊 EAN International)과 GCI가 주축이 되어 2001년 출범하였다.

    업무 절차를 보면, 국제 기구, 기업, 학계, 연구소 등의 전문가는 물론 일반인도 참여하여 새로운 표준의 제정을 제안하거나 기존 표준의 개정 및 수정을 제안한다. 제안된 의견은 GS1 전문가의 1차 검토를 거쳐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비즈니스 프로세스 연구 그룹과 기술 연구 그룹의 논의를 통해 표준에 반영된다. 이러한 절차는 세부 사항까지 모두 명문화되어 있어 일관성 있는 표준의 개발을 가능케 한다. (홈페이지: www.gs1.org)

     

     

    GSRN (Global Service Relation Number)

    국제서비스관계번호. 클럽의 회원이나 우수고객, 병원이 환자와 같이 업체와 고객 사이의 서비스 관계를 표시하는 GS1 식별코드이다. GSRN은 국가코드, 업체코드, 서비스 관계 코드, 체크디지트의 코드구조를 가지며 응용식별자(AI) 8018과 함께 표현한다.  

     

    GSRN 코드구조

     

    GS1 (Global Standards No. 1) 상품 및 거래처의 식별과 거래정보의 교환을 위한 국제표준의 개발·보급·관리를 전담하고 있는 민 간 표준기구. 전 세계 110개 이상의 회원기관이 있으며 ISO, WTO, WCO 등의 국제기구와 협력하여 전 산업의 표준화 및 디지털화를 선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이 GS1의 사무국(GS1 Korea)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홈페이지: www.gs1.org

     

     

    GS1

    The Global Language of Business

    www.gs1.org

     

     

    GS1 Barcode

    GS1 표준 바코드. GS1 표준 바코드 중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EAN-8, EAN-13, ITF-14, GS1 DataBar, GS1 DataMatrix, GS1-128 등이 있다.

     

    GS1 Company Prefix

    GS1 식별코드 체계 중 GS1 Prefix와 업체코드(Company Number) 부분을 지칭하는 용어. 가령, GS1 식별코드 중 단품 및 물류단위의 식별을 위해 부여되는 13자리 코드체계인 GTIN-13은 국가코드, 업체코드, 상품코드, 체크디지트의 네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국가코드와 업체코드를 합한 부분을 말 한다. 이것은 각국 GS1 코드관리기관에 의해 부여되고 관리된다.

     

     

    GS1 DataBar

    정상 크기(EAN-8 또는 EAN-13, UPC)의 바코드를 인쇄할 만한 공간이 없는 소형 상품(예: 신선식품, 각종 의약품)에 부착할 목적으로 GS1이 개발한 바코드. GS1 DataBar는 식별코드 외에 부가 정보의 입력도 가능하다. 아래 표에서와 같이 하나의 문자를 표현하는 모듈의 수가 다른 심벌에 비해 적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다.

     

     

     

    GS1 DataBar는 GTIN-14 식별코드(14자리)의 입력을 기본으로 하며 종류에 따라 부가 정보의 추가 입력이 가능하다. GS1 DataBar의 종류와 용량, 기타 특징은 다음 표와 같다.

     

    GS1 DataBar의 종류 및 특징

     

    GS1 DataMatrix

    매트릭스형의 2차원 바코드로서 GS1 응용식별자(AI, Application Identifier)와 FNC1(Function Code 1)을 지원하는 버전. 응용식별자와 FNC1은 GS1 데이터매트릭스의 헤더 구조에 반드시 필요하며, 이 때문에 GS1 데이터매트릭스가 다른 데이터매트릭스 버전이나 GS1외의 데이터 입력 방식과 구별된다. GS1 데이터매트릭스는 GS1 응용식별자 규칙에 따라 문자와 숫자 데이터를 연속해서 입력할 수 있어, 다양한 추가정보를 입력하면서도 작은 크기로 인쇄가 가능하다. 전 세계 의료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GS1 DataMatrix

     

    GS1 MO (Member Organization)

    각국을 대표하여 GS1에 가입하여 GS1 시스템의 국내 보급과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 2015년 현재 유 럽, 북미, 남미, 아시아 지역 150여 개국에 110개 이상의 회원기관이 존재한다. 동 기관은 비영리를 원칙으로 회원업체의 회비로 운영되며 유통 및 제조업체의 임원급 대표자로 구성된 이사회의 감독을 받는다.

    GS1 식별코드 및 바코드, EDI 표준 보급이라는 기본 업무 외에 SCM 및 전자상거래 관련 각종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은 1988년 GS1에 한국을 대표하여 가입하였고 GS1 Korea 사무국으로서 국내 표준 보급·관리 및 유통물류산업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GS1 Prefix

    GS1이 회원국(MO)에 부여하는 국가코드 혹은 내부 관리용 코드. 2자리수 혹은 그 이상의 자리수로 이루어져 있다.

     

     

    GS1 QR Code

    GS1 시스템을 지원하는 QR Code. ISO/IEC 18004 QR Code 2005의 서브셋(Subset)으로 GS1 식별 코드를 인코딩할 수 있는 QR Code를 지칭한다. 데이터 입력 시 숫자만 입력할 경우 7,089개, 영숫자(Alphanumeric)의 경우 4,296개, 바이너리 코드의 경우 2,953개, 한글/한자의 경우 1,817개 까지 입력 가능하다. 

     

    GS1 QR Code

     

    GS1 System 개별 품목(소비자 판매단위, 물류단위, 로케이션 등)에 부여되는 식별코드(Data Structure), 이것을 스 캐너 등 판독장비가 읽을 수 있도록 표시하는 데이터 캐리어(Data Carrier), 그리고 식별코드를 네트워 크(VAN)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전자문서표준으로 구성된 국제표준체계. GS1 이 개발하였으며 각국 회원기관이 국내 보급과 관리를 담당한다.

     

    데이터 캐리어 및 식별코드 예시

     

    GS1 시스템 개념도

     

    GS1-128 Barcode

    개별기업의 물류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국제표준 바코드. 일반적으로 팔레트, 컨테이너 등 물류단위에 사용되며, 응용식별자(AI, Application Identifiers)를 사용하여 식별코드 이외에도 유통기한, 중량, 배송처, 원산지 등 다양한 부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GS1-128 바코드는 시작부분에 FNC1을 넣는다는 점에서 Code 128과 구별된다.

     

    GS1-128 바코드

     

    GTIN (Global Trade Item Number)

    국제거래단품(Trade Item) 식별코드. 거래단품이란 공급망 상에서 가격이 매겨지거나 주문 단위가 되는 상품을 지칭한다. 즉,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모든 낱개 상품뿐만 아니라 묶음 상품, 기업 간 주문단위로 이용되는 골판지 상자 단위도 거래단품의 범주에 포함된다.

    따라서 GTIN은 GTIN-8(단축형 식별코드, 8자 리), GTIN-13(표준형 식별코드, 13자리), 또는 GTIN-14(표준물류코드, 14자리) 중 하나의 코드체계로 표시된다.

     

    ▣ 예시

    - △△샴푸 1병의 GTIN : 8809123450018 (GTIN-13)

    - △△샴푸 1상자의 GTIN : 18809123450017 (GTIN-14)

    - □□ 담배 1갑의 GTIN : 880123015 (GTIN-8)

     

     

    GTIN-8

    GTIN-13이 사용되기 어려운 소형 상품의 식별에 사용되는 8자리 코드체계. 오직 소비자 판매단위에만 사용되며 대표적인 예로 담배, 야쿠르트 등을 들 수 있다. 코드 구조는 다음과 같다.

     

    GTIN-8의 구조

     

    GTIN-13 코드와 마찬가지로 국가코드와 업체코드를 코드관리기관이 부여하고 상품 코드와 체크디지트는 업체가 자체적으로 관리한다.

     

    GTIN-13의 구조

     

    코드관리기관은 회원업체에게 국가코드와 업체코드를 합한 7~9자리의 고유코드를 발급한다. 회원업체는 고유코드에 상품코드를 덧붙이고 체크디지트를 계산하여 13자리를 완성한다. 따라서 회원 업체는 최소 1,000 품목에서 최대 100,000 품목까지 상품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몇 자리의 업체코드를 부여하는가는 전적으로 각국 코드관리기관의 재량에 달려 있다.

     

    GTIN-14 소비자 판매 단위가 아닌 상품에 부여되는 14자리의 식별코드체계. 코드 구조는 다음과 같다

     

    GTIN-14의 구조

     

    Guard Bar

    스캐너 등 판독기가 EAN-8, EAN-13, UPC 등 바코드의 시작과 끝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검은 바 와 흰 바의 조합.

     

    가드 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