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통물류사전] E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물류유통용어 2025. 2. 2. 01:02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 국제표준 용어집 

     

    EANCOM

    GS1 시스템의 일부로서, GS1이 제정, 관리, 보급하고 있는 표준 전자메시지 실행지침서. 행정, 상업 및 운송 부문을 위한 전자문서(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국제표준인 UN/EDIFACT(United Nations/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nsport) 중 유통산업에 필요한 항목만을 모아서 GS1에서 제정한 표준전자문서이다.

     

     

    ▣ EANCOM의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범주로 나뉜다

    - 마스터 데이터 메시지: 이름, 주소, 담당자, 계좌번호 등

    - 거래 메시지: 인도조건, 지불조건, 가격, 할인 및 요금, 주문과 관련된 메시지 및 추가 변경사항, 출하/운송/입고와 관련된 정보, 상품 대금과 관련된 메시지 등

    - 보고 및 기획 메시지: 배송, 매출, 재고에 관한 최신 정보와 예측 자료를 전달함으로써 협력업체의 사업계획과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여

    - 구문 및 서비스 보고 메시지: 교환을 확인하거나 거절하는 용도로 발송

    - 보안 메시지: 서명 확인을 위한 디지털 서명 전송 또는 보안 데이터에 대한 레퍼런스 전송에 이용

     

    ▣ EANCOM 표준은 다음과 같은 수단으로서 거래를 지원한다

    - 거래의 성사를 돕는 메시지 (가격 카탈로그, 주문서, 청구서 등)

    - 운송업자에게 상품 운반을 지시하는 메시지

    - 뱅킹 시스템을 통한 대금 결제에 사용되는 메시지

     

     

    EAN International

    EAN·UCC 시스템을 개발하고 관리했던 비영리 국제기구. 1977년 유럽지역 12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유럽상품코드관리기구(European Article Number Association, 이하 EAN)로 출발하여, 이후 아 시아 및 남미, 아프리카 국가의 가입에 따라 EAN International로 개칭하였다가 2002년 11월 UCC와 ECCC(Electronic Code Council of Canada)가 EAN International 회원기관으로 가입하였으며 2003년 5 월 총회(General Assembly)에서 GS1이라는 새 명칭으로 탈바꿈함으로써 상품코드, 전자문서 및 다양한 공급망 기반기술 표준의 개발과 관리의 단일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EAN/UPC Barcode

    일반적인 소비재 상품에 사용하는 바코드. GS1이 개발한 국제표준 바코드로 우리가 마트에 가면 흔히 볼 수 있는 880으로 시작하는 코드가 입력된 바코드가 대표적이다. 국제표준 바코드이기 때문에 전 세계 어느 매장의 계산대에서도 읽히는 국제적 통용성을 가지며, 사용 용도에 따라 EAN-13, EAN-8, UPC-A, UPC-E의 네 종류로 구별된다.

     

     

    EAN-8

    GTIN-8 식별코드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바코드 심벌. EAN-13과 마찬가지로 총 길이 7모듈 내에서 2개의 검은 바와 두 개의 흰 바를 조합하여 숫자를 표시한다. 좌우여백과 가드 바 패턴을 포함한 전체 길 이는 81모듈이다.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낱개 상품 중·소형(예: 담배, 껌 등) 상품에만 부착된다.

     

    ▣ 표준 크기(100%): 26.73 mm x 21.31 mm (가로×세로)

    ▣ 최소 크기(80%): 21.38 mm x 17.05 mm

    ▣ 최대 크기(200%): 53.46 mm x 42.62 mm

     

    EAN-8

    EAN-13

    GTIN-13 식별코드를 표시하는 바코드 심벌. 폭이 다른 두 개의 검은 바와 두 개의 흰 바를 조합하여 숫자를 표시한다. 하나의 숫자는 7모듈이며 좌우 여백, 가드바 패턴 등을 포함한 전체 길이는 113모듈이다. 제품에 직접 인쇄될 수도 있고, 스티커(라벨) 형태로 부착될 수도 있다. 주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낱개 상품에 부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물류단위(골판지 상자)에도 사용된다.

     

    ▣ 표준 크기(100%): 37.29 mm x 25.91 mm (가로×세로)

    ▣ 최소 크기(80%): 29.83 mm x 20.73 mm

    ▣ 최대 크기(200%): 74.58 mm x 51.82 mm

     

    EAN-13

     

    EAS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전자식 상품 도난방지 시스템. 제품 구매 시 제품에 부착된 전자태그(켜거나 끌 수 있는 단순 전자태그)의 전원은 꺼지게 되는데, 만일 꺼지지 않은 전자태그가 부착된 제품이 출입문을 통과하게 될 경우 경보가 울리도록 하여 상품 도난을 예방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을 지칭한다. 이 시스템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기반이거나 음향자기(Acousto-Magnetic) 방식일 수 있다.

     

     

    ebXML (e-business eXtensible Markup Language)

    e-비즈니스용 확장성 표기언어. UN/CEFACT(United Nations Center for Trade Facilitation and Electronic Business)와 민간 세계 최대 XML 표준화 기구인 OASIS(Organiz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tructured Information Standards)가 개발한 XML 기반의 전자 상거래용 개방형 표준을 지칭한다. 업종 또는 업체마다 서로 다른 XML e-비즈니스 솔루션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호환성 결여 문제를 해결 하고자 개발되었다. 1999년 개발에 착수하여 2001년 5월에 확정되었으며 기술 표준 6개 항목과 업무표준 1개 항목 등 총 7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 기술표준 6개 항목

    - ebXML의 기술적 구조

    - 전자거래의 요건(Requirement)

    - 전자상거래 관련 데이터의 등록 및 저장을 다루는 등록정보 모델

    - 등록서비스

    - 전자상거래 파트너간의 거래 합의와 관련된 협업 프로토콜 프로필 및 협약

    - 전자상거래 데이터 교환 및 전송과 관련된 메시지 서비스]

     

    ▣ 업무표준 1개 항목

    - 비즈니스 공정개요

     

     

     

    EC (Electronic Commerce)

    전자상거래. 개인과 조직을 모두 포함해서 텍스트, 음성, 화상 등 디지털 데이터의 처리와 전송에 기초한 모든 종류의 상거래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최근 들어서는 유통채널의 확대라는 개념에서 제품의 개발에 서 제조, 생산, 유통, 소비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기업 활동이 인터넷과 접목되는 활동 개념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SCM과 관련된 협의의 정의로는 EDI(전자문서교환), 자동인식기술(자동화된 데이터 획득 시스템) 등과 같은 전자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상거래 정보를 교환하고 관리하는 행위를 일컫기도 한다.

    *권오경, ‘글로벌 경쟁력과 SCM 전략,’ 한국유통정보센터, 2001.

     

     

    ECCMA (Eletronic Commerce Code Management Association)

    전자상거래코드관리협회.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원활한 교환을 위해 인터넷 콘텐츠 표준(상품의 속성, 분류, 번역 스키마 등)의 개발을 목표로 1999년 설립되었다. 전 세계 정보통신업체를 회원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사무국은 미국에 있다. 

     

     

    Home - ECCMA

    A company, government agency, or other organization relying on quality master data for purchasing and inventory management. You understand that trust in master data is paramount.

    eccma.org

     

     

    Economy of Scale

    규모의 경제. 생산능력이나 생산량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단위당 고정비용과 변동비용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위당 고정비용이 감소하는 것은 설비비, 감독비, 보험료 등이 규모가 크더라도 거의 일정하 기 때문이며, 단위당 변동비용의 감소는 대량구매에서 오는 할인혜택이나 기계화와 자동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규모의 경제는 대량생산으로 단위당 생산비용이 내려갈 때 나타난다. 이와 같은 규모의 경제효과를 활용하여 단위당 생산비용을 치소로 하는 경제규모를 결정할 수 있다.

     

     

    ECR (Efficient Consumer Response)

    효율적 소비자 대응. 식품·잡화 부문의 SCM을 지칭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거래업체간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정보공유를 통해 업무효율 개선 및 비용절감을 달성하고 소비자 가치를 향상시키려는 경영전략 을 말한다. ECR에는 크게 4가지 주요 활동이 있는데 효율적인 상품도입(Efficient Product Introduction), 효율적인 상품보충(Efficient Replenishment), 효율적인 상품구색(Efficient Assortment), 효율적인 판촉활동(Efficient Promotion)이 그것이다. 

     

     

    ECR Scorecard

    SCM(ECR, QR 등)을 추진 중이거나 추진 준비 중인 기업이 자사 및 거래 파트너의 SCM 추진 준비도, 추진 역량, 협업수준,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량적 평가도구.

    스코어카드의 원 개념은 업 종에 관계없이 기업의 재무상태, 고객 만족도, 업무 프로세스, 비전, 성장 전략 등 경쟁 요소를 종합적으 로 수치화하여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말하는데 1990년대 초 미국에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유통 산업의 효율화 전략인 ECR의 확대에 따라 1990년대 중반부터 다국적 유통·제조업체들을 중심으로 ECR의 추진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유통산업에도 스코어카드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다국적 유통·제조업체들의 협의체인 GCI(Global Commerce Initiative)에서는 국적과 규모, 업태를 막론하고 유통업계의 모든 기업이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만국 공통 스코어카드인 글로벌 스코어 카드(Global Scorecard)를 1999년 개발하였다. 이것은 ECR 활동을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을 다시 다수의 세부 항목으로 분류, 각 항목마다 가장 모범적인 사례를 기준으로 현재 기업의 수준을 점수화 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전자문서교환.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에 구조화된(structured) 데이터를 사전에 약속된 표준 서식(Agreed Message Standards)에 따라 전자적 수단에 의해 교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기업 A가 내부 전산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면 전환/번역 장비가 표준 전자문서로 바꾸어 기업 B로 전송한다. B의 전환/번역 장비는 표준 전자문서를 B의 내부 전산시스템에 맞게 변환한다.

    EDI를 위한 국제표준은 UN/CEFACT(United Center for Trade Facilitation & Electronic Business)가 제정한 UN/EDIFACT(United Nations Directories for 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nsport)이며 이를 기초로 각 산업의 특성에 맞는 국제표준전자문서가 개발되어 사용 되고 있다.*

    * 예를 들면, 유통산업의 경우 GS1, 화학산업의 경우 CEFIC (European Chemical Industry Council), 자동차 산업은 Odette, 의약품 산업은 EMEDI (European Medical EDI), 섬유산업은 EDITEX에서 전자문서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EDI 개념도

    Electronic Label

    전자라벨. 트랜스폰더 또는 무선태그를 대체하는 일상용어이다.

     

     

    Element

    바코드의 단일 바(Bar) 혹은 스페이스(Space). Element String 데이터 열. 응용식별자(AI)와 응용식별자가 지칭하는 데이터가 결합된 것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e-Marketplace

    인터넷상에서 다수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상의 공간. 통상 기업 간 전자상 거래(B2B)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일반 e-Commerce나 e-Business가 기업과 소비자 사이의 비즈니스를 인터넷 등으로 전환시켜 놓은 것이라면 e-Marketplace는 공급자와 소비자 사이를 연결해주는 중계자의 역할을 인터넷 등의 뉴미디어를 통해 하는 것이다. e-Marketplace는 공급자 기업에 속하지 않고 공급자와 소비자를 연결시켜주는 것이 가장 큰 핵심이다.

    수익은 거래 성사에 대한 커미션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고 일부 e-Marketplace는 등록비 등의 수익모델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기업은 e-Marketplace의 신뢰성을 통해 한번도 본적도 들은 적도 없는 기업과의 거래에 대한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e-Marketplace와 기업들간의 e-Procurement(온라인 조달)시스템을 통해 보다 쉽게 상품 구매가 가능해 많은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EPC (Electronic Product Code)

    EPCglobal에서 보급하는 RFID 태그 입력용 코드체계. GS1 바코드와 마찬가지로 상품을 식별하는 코드이지만 차이점은 바코드가 품목단위의 식별에 한정된 반면, EPC 코드는 동일 품목의 개별상품까지 원 거리에서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위조품 방지, 유효기간 관리, 재고 관리 및 상품 추적 등 공급망에서 다양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EPC에는 총 96비트의 정형화 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데,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 Header(헤더) : 데이터 및 길이를 정의하는 2자리 문자

     

    ▣ EPC Manager Number(업체코드) : GS1 바코드의 업체코드에 해당하며 각국 GS1 본부가 할당한다. 28비트의 용량으로 7개의 숫자(0~9) 및 문자(A~F)를 조합하여 약 2억 6천만 개의 업체코드를 할당할 수 있다.

     

    ▣ Object Class(상품코드) : 바코드의 상품품목코드에 해당하며 사용업체가 할당한다. 24비트의 용량으로 6개의 숫자와 문자를 조합하여 악 1천 6백 개의 상품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 Serial Number(일련번호) : 동일상품에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번호로서 사용업체가 할당한다. 36비트로 9개의 숫자와 문자를 조합하여 680억 개의 상품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EPCglobal EPC 코드와 EPCglobal 네트워크의 전 세계 보급을 총괄하고 있는 국제 민간 기구. 상품코드의 국제표준 개발/관리 기구인 EAN과 UCC의 통합으로 탄생한 GS1이 2003년 11월에 설립한 자회사이다. EPCglobal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 EPCglobal 본부

    - EPC 관리자 코드의 발급, 관리 및 ONS 등록 총괄

    - EPCglobal 네트워크 표준 개발 및 보급

    - 브랜드 관리 및 마케팅

    - 개인정보보호, 지적재산권 관련 정책 결정

     

    ▣ EPCglobal 각국 보급 기관

    - 보급 대상 신산업 발굴 - 도입지원(교육, 컨설팅 및 가이드라인 발급)

    - 자국내 회원관리(회원모집 및 EPC 관리자코드 발급) GS1은 표준 개발에 있어 시너지를 창출하고 조직 운영의 효율성을 위해 2009년 EPCglobal Inc.을 통합하였다.

     

    EPCglobal Network

    RFID 기반의 범세계적 상품 식별 네트워크 시스템. EPCglobal 네트워크 국제표준에 따라 구축된 개별 기업이 RFID 기술을 활용, 인터넷을 통해 다른 기업과 연결되어 전세계적으로 상품 식별, 추적을 가능하게 한다. EPC 네트워크는 MIT 대학의 Auto ID 센터가 개발한 RFID 시스템을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EPCglobal이 동 네트워크의 범세계적 보급을 담당하고 있다.

     

    ▣ 구성요소

    ▣ 작동원리

     

     

    EPC Object Naming Service (EPC ONS)

    사용자가 특정 EPC 코드에 대한 데이터를 찾아 그 데이터에 대한 접속 승인을 요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종합 서비스. ONS는 일종의 디렉토리로서 EPC 코드를 인터넷상의 URL(논리적 주소)로 변환시켜 준다. 이 URL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찾을 수 있으며 여기에서 해당 상품이나 케이스, 팔 레트 등에 대한 상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EPC Reader

    EPC 판독기. EPCglobal 표준을 준수하는 RFID 판독기를 지칭한다. EPC Tag EPC 태그. 전자상품코드(EPC)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EPCglobal 표준을 준수하는 RFID 태그를 지칭한다.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 ERP는 인사·재무·생산 등 기업의 전 부문에 걸쳐 독립적으로 운영 되던 인사정보시스템·재무정보시스템·생산관리시스템 등을 하나로 통합, 기업내의 인적·물적 자원의 활용도를 극대화하 고자 하는 경영 혁신기법이다.

    과거의 경영지원을 위한 각 서브 시스템은 해당 분야의 업무를 처리하고 정 보를 가공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기도 하지만, 별개의 시스템으로 운영되어 정보가 타 부문에 동시에 연결 되지 않아 불편과 낭비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ERP는 어느 한 부문에서 데이터를 입력하면 회사의 전 부문이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정보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ERP를 실현하기 위해서 공급되는 소프트웨어를 ERP Package라고 하는데, 이 패키지는 데이터를 어느 한 시스템에서 입력을 하면 전체로 자동 연결되어 별도로 인터페이스를 처리해야 할 필요가 없는 통합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또는 ERP Package는 주기적으로 새 버전이 공급되어 신기술이 도입이 쉬우며 선진 업무 프로세스의 도입에 의한 생산성 향상, 많은 기업의 적용으로 신뢰성 및 안전성 확보, 전 모듈 적용시 데이터의 일관성 및 통합성으로 업무의 단순화와 표준화 실현, 실시간 처리로 의사결정 정보의 신속한 제공 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ERP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업무처리 능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선진 프로세스(Best Practice)와 최첨단의 정보기술을 동시에 얻는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이는 급변하는 경영환경의 변화와 정보기술의 발전에 대응하려는 기업의 고민을 동시에 해결시켜 주는 솔루션이라고 할 수 있다.

     

     

    Even Parity

    짝수 패리티. 심벌 문자(Symbol Character)를 코드화할 때 나타나는 특성 중의 하나로서 심벌 문자가 어두운 모듈(Dark Modules) 즉, 단위 막대를 짝수 개 포함하는 경우에 추가되는 패리티를 의미한다.

    [비교] Odd Parity

     

     

    Extension Digit

    확장자. SSCC의 사용 가능 코드 수를 늘리기 위해 국가코드 앞에 삽입하는 한 자리 숫자. 보다 자세한 사항은 SSCC 설명을 참조하라.

     

     

    Extranet

    엑스트라넷. 인터넷 기술을 사용하여 공급자·고객·협력업체 사이의 인트라넷을 연결하는 협력적 네트 워크. 인트라넷의 확장 개념으로 고객 및 협력업체와의 관계 증진을 위해 기업의 내부 통신시스템인 인트라넷에 이들을 포함시킨 새로운 통신구조이다. 이 구조 아래서는 정보를 이용하는 사람과 정보를 창출하는 사람 사이에 거의 즉각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해, 반응을 리얼타임으로 입수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의 의견을 품질향상에 즉시 반영할 수 있고, 제품개발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다.

    [비교] Intranet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