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통물류사전] C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물류유통용어 2025. 1. 31. 01:01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 국제표준 용어집 

     

     

    CAO (Computer Assisted Ordering)

    컴퓨터에 의한 주문시스템. POS를 통해 얻어지는 상품흐름에 대한 정보와 계절적인 요인 등에 의해 소비자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에 대한 정보, 그리고 실제 재고수준, 상품수령, 안전 재고수준에 대 한 정보 등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통합, 분석하여 주문서를 작성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Carbon Footprint

    탄소발자국. 개인이나 단체와 같은 어떤 주체가 직·간접적으로 발생시킨 온실가스의 총량을 지칭한다. 지구 환경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구온난화와 연계하여 그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탄소 발생으 로 하여금 정화비용 및 노력을 하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린스타트, 에너지 관리공단, 국립 환경 과학원 홈페이지에서 탄소발자국을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탄소발자국계산기를 이용할 수 있다.

     

     

     

    Category Management (CM)

    카테고리관리. 유통업체와 공급업체가 소비자 가치 향상을 목적으로 카테고리를 전략적 비즈니스 단위로 관리하는 수요관리 기법을 지칭한다. 여기서 카테고리란 기업이 자사의 비즈니스 전략에 따라 설정한 상품군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청량음료, 여성위생용품, 사무용품과 같이 용도가 비슷하거나 서로 대체 가능한 상품들을 묶어 하나의 카테고리로 정할 수도 있고, 크리스마스 용품, 무농약 재배 상품 등과 같이 특정 시기 또는 소비자 취향에 맞춘 상품들을 카테고리로 정할 수도 있다.

    기업은 카테고리의 목표(시장방어, 매출극대화, 이익 극대화 등), 경쟁 환경, 소비자 취향 등을 고려하여 가격, 머천다이징, 판촉, 제품 구색 등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 유통업체와 협력업체는 카테고리 선정, 판 매 데이터 등 정보의 공유, 소비자 행동 분석, 이익의 배분 등에 있어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며, 조직 구조 및 전산(정보)시스템의 업그레이드, 조직원 교육/훈련 등에 있어 투자가 필요하다.

    카테고리관리 비즈니스 프로세스 활동

    Check Digit

    식별코드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1자리의 숫자. 이전 숫자들이 올바르게 부여되었는지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국가코드, 업체코드, 상품코드를 이용하여 특정 공식에 따라 계산하여 결정된다(아래 계산법 참조). 임의로 부여할 경우 해당 바코드(식별코드)는 판독이 불가능하다.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코리안넷 홈페이지에 있는 체크디지트 계산 프로그램을 통해 체크디지 트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코리안넷 - GS1Korea DB 포털

    코리안넷 바코드 생성부터 관리, 바코드 검증서비스까지 GS1 Korea 회원사를 위한 바코드 통합 관리 시스템 우측 'GS1 Korea 코리안넷' 로그인 후 사용'

    www.koreannet.or.kr

     

    체크디지트 계산법

     

    CIM (Computer-Integrated Manufacturing)

    컴퓨터 통합 생산 시스템. 일반적으로 CIM 시스템은 관리 기능과 엔지니어링, 제조, 지원 업무를 연결시 킨다. 공장에서는 CIM 시스템이 생산 작업 배열을 관리하고, 자동화 장비 및 컨베이어 시스템의 작동을 통제하며, 제조 작업 지침서를 전달하고, 제조 또는 조립 과정의 다양한 단계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며, 테스트 결과와 작동 매개변수의 추적 및 분석을 촉진하는 등 다양한 일을 한다.

     

     

    Co-Managed Inventory (CMI)

    공동재고관리. 재고 관리가 공급업체와 유통업체 공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지칭하는 CR(Continuous Replenishment, 연속적인 상품보충)의 한 형태를 말한다.

    CMI 하에서는 주문제안서를 제조업체가 작성 및 발송하고, 유통업체가 이를 수정, 확정한다. 이 때, 유통업체는 판매 및 재고 정보를 공급업체로 전송 하는데, 공급업체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자체 어플리케이션(CR 실행용 프로그램)을 이용, 상품수요를 예측하고 생산량을 조절하며, 유통업체에 보낼 주문제안서를 작성한다.

     

    CMI 프로세스

     

     

    Code 128

    3개의 각각 폭이 다른 검은 바와 흰 바가 조합되어 문자를 표시하는 1차원 바코드. 1981년 컴퓨터 아 이덴틱스사가 개발하였다. 문자 1개는 11 모듈로 구성되어있다. 모든 ASCII 문자를 지원하며 128∼255 범위의 문자도 입력 가능하다.* Code 128은 심벌 폭의 최소화를 위해 동일한 문자를 서로 다른 코드 세 트(코드 세트 A, B, C)의 조합을 통하여 표현하는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다. 심벌의 길이는 정해져 있지 않으나 판독기의 용량을 감안하면 최대 약 48개 문자로 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키보드에 있는 모든 문자, 숫자, 기호, 및 기능(Space Bar, Tab 등)을 표시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코드 128

     

    Code 39

    5개의 검은 바와 4개의 흰 바를 조합하여 숫자와 알파벳 및 일부 기호 등을 표시할 수 있는 1차원 바코드. 1975년 인터맥(Intermec)사에 의해서 개발되었는데 현재 자동차, 의료, 국방, 경영정보시스템(MIS) 용으로 널리 응용되고 있다. 이름의 39는 심벌의 문자 구조에서 9개의 검은 바와 흰 바 중에서 3개의 넓은 바가 있다는 데에서 유래했다. 데이터의 용량은 가변적이며 특수문자를 사용할 경우 모든 ASCII 데이 터를 표현할 수 있다. 한 개의 문자는 총 12모듈로 구성된다. 이 정도면 하나의 문자(숫자)를 표시하는 데 비교적 많은 모듈이지만, 그 대신 대단히 높은 신뢰도와 안정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코드 39

    Composite Symbology

    복합심벌. GS1 시스템에 기반한 1차원 바코드 심벌과 2차원 바코드 심벌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심벌. 복 합심벌의 1차원 부분에는 상품의 식별코드를 입력하고, 바로 위쪽의 2차원 부분에는 유통기한, 배치번호, 중량 등 해당 상품의 부가정보를 입력한다. 1차원 부분과 2차원 부분에 사용될 수 있는 바코드 심벌은 다음과 같다.

     

     

    ▣ 1차원 부분에 사용 가능한 바코드 심벌

    - EAN/UPC 심벌 : EAN-13, EAN-8, UPC-A, UPC-E

    - GS1 DataBar

    - GS1-128

     

    ▣ 2차원 부분에 사용 가능한 바코드 심벌

    - PDF417

     

     

    복합심벌은 1차원 바코드 부분에 사용된 바코드의 이름을 따서 명칭이 부여되는데 가령, 1차원 바코드 부분에 사용된 바코드가 GS1-128 바코드인 경우 GS1-128 복합심벌(GS1-128 Composite Symbol)로 부른다. 복합심벌은 1차원 바코드에 비해 데이터 저장 용량이 크고 컴퓨터 등에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으나 1차원 바코드에 비해 판독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GS1-128 복합심벌(GS1-128 Composite Symbol)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

    협업적 기획, 예측, 상품 보충. 공급망 참여업체간 공동의 사업계획 수립과 정보 공유를 통해 공급망 전 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ECR 응용기술의 한 가지를 말한다. 비즈니스의 흐름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유통업체와 제조업체가 거래 상품에 대한 공동의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판매, 재고, 판촉행사 등과 관련한 정보를 공유하여 단일 수요 예측치를 도출, 이를 기반으로 생산계획, 상품 보충, 카테고리 관리 등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CPFR 모델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 CPFR 비즈니스 모델

    CPID (Component / Part Identifier)

    구성요소식별코드. 구성요소(C/P, Component/Part)를 식별하는 GS1 식별코드이다. 여기서 ‘구성요소’ 란 전체를 구성하는 요소(Component)나 부분(Part)(예: 자동차 부품)을 통칭한다. CPID는 국가코드, 업체 코드, C/P 레퍼런스코드*의 코드구조를 가지며 응용식별자(AI) 8010과 함께 표현한다.

    *CPID 레퍼런스코드는 숫자, 알파벳 대문자 혹은 특수문자(예: “#”, “/” 등)만 사용할 수 있다.

     

    CPID 코드구조

    응용식별자(AI) 8011과 함께 CPID 일련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C/P 일련번호는 해당 품목을 개별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며, 한번 부여가 되면 해당 품목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한다. CPID 일련번호는 CPID 부여자(CPID 바이어(Buyer) 혹은 주문자 상표에 의한 제품 생산자(OEM))가 결정한다. CPID 일련번 호는 숫자9)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 12자리까지 표시 할 수 있다.

     

    CPID 일련번호

     

    CR (Continuous Replenishment)

    연속적인 제품보충. 공급업체(제조업체 또는 도매업체)와 유통업체가 재고량, 유통채널 잔존 주문량, 예측 판매량, 재고수준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여 상품의 공급(주문, 배송 등)을 통제·관리하는 ECR 응용 기술(Application)의 하나를 말한다.

    유통업체와 공급업체는 사전에 상품공급 정책에 합의한 후, 교환된 정보(현재의 수요·재고·상품이동 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연속적으로 상품의 공급과 수령을 진행시킨다. 1차적 목표는 최소한의 재고 만 보관, 취급하는 동시에 정확한 상품의 흐름을 달성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고객 서비스 만족수준을 높이는 것이다. CR은 재고 관리의 책임이 공급업체와 유통업체 중 누구에게 있는가에 따라 CMI(Co-Managed Inventory, 공동재고관리)와 VMI(Vendor-Managed Inventory, 공급업체 주도의 재고 관리)로 구분된다.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관리시스템. 기업의 각 부문에 산재되어 있는 고객정보를 일원화하고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한 고객에 관한 전체 채널을 통한 접촉 이력과 거래 이력을 항상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정보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세부적인 고객의 니즈나 특성에 입각한 대응을 실시하여 고객만족도를 높이고 이로 인해 우량고객의 수가 늘어 기업의 수익성이 향상되는 SCM의 중요한 요소이다.

     

     

    Cross Docking

    크로스도킹(통과형 물류센터). 창고나 물류센터에서 수령한 상품을 창고에서 재고로 보관하지 않고 원 하는 곳으로 즉시 배송하는 물류시스템이다. 다시 말해, 크로스도킹은 배달된 상품을 수령하는 즉시 중간 저장단계를 거치지 않고 목적지로 배송하는 것을 말한다.

    물류센터에서의 크로스도킹은 중간단계가 매우 짧기 때문에 배송의 동시화가 매우 중요하다. 판매되는 시점의 장소와 포장 형태를 고려하여 공급업체는 유통업체에게 상품을 보낸다. 물류센터 도착 즉시, 점포별로 구분되어 적하된 팔레트는 부착된 GS1 표준 바코드 라벨에 담긴 정보에 따라 분류되고 다시 적재된다. 이 과정은 제품을 직접 체크할 필요가 없으며 소요 시간도 몇 분에 불과하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