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통물류사전] D로 시작하는 물류용어물류유통용어 2025. 2. 1. 01:01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 국제표준 용어집
Data Identifier (DI)
데이터 식별자. 데이터의 형식과 의미를 지정해주는 특정 문자 또는 문자열을 지칭한다. 데이터 식별자 는 ISO 15482에서 정의된 GS1 응용식별자, 그리고 FACT 데이터 식별자와 유지보수, ANSI MH 10.8.2 등과 같은 영숫자(Alphanumeric)를 의미한다.
Data Matrix
4각형의 검은색 바와 흰 바의 조합을 통해 문자와 숫자를 표시하는 매트릭스 형 2차원 바코드. 미국의 International Data Matrix사가 개발하였으며 ISO/IEC 16022, ANSI/AIM BC11에 명시된 국제표준이다.
4각형의 바를 랜덤 도트(Random Dot)라고 하는데 스캐너는 심벌 아래쪽과 좌측을 감싸는 L자 모양의 두 꺼운 바를 기준으로 하여 랜덤 도트가 표시한 데이터를 판독한다. ASCII 128개 문자를 모두 표시할 수 있 으며 약 2,300개의 문자 및 숫자 저장용량을 가진다. 전방향 판독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미지 스캐너를 통해서만 판독되며 오류정정능력이 PDF417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주로 소형 전자부품의 식별과 부가 정보의 입력을 위해 사용된다.
Data Matrix Delivery Lead Time
납기소요시간. 어떤 자재나 부품을 공급자에게 주문할 때부터 그것을 실제로 받을 때까지의 기간. 자체 에서 제조할 경우 어떤 품목의 생산지시부터 완료 시까지의 모든 기간을 말한다. 납기기간이 분명하면 확 정적 납기기간이라하고 불확실할 경우에는 확률적 납기기간이라 한다.
Direct Store Delivery
감가상각. 자산을 취득했을 때부터 자산의 실제 가격을 분할하여 사용 기간이 경과함에 따른 자산가치 의 감소를 나타낸다. 감가상각은 현금으로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세금에 대한 보호, 나아가서 세금을 감 소시키는 행위이다.
Direct Delivery
직납기. 공급자가 구매자에게 직접 상품을 인도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반대로 공급자와 구매자 사이에 중간상인이 개입되는 것을 3자 거래하고 한다.
Direct Part Marking
직접 마킹. 딱딱한 물질(금속, 플라스틱, 나무 등)에 직접 인쇄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컴퓨터가 제어하는 작은 헤드가 인쇄할 면에 연속해서 작은 구멍을 뚫어 표기하는 방식을 지칭한다. 마킹의 깊이는 컴퓨터로 정밀하게 제어되므로 일정하다.
Distribution Center
유통센터. 완제품 또는 서비스 품목을 보유한 창고. 예를 들어, 한 회사의 공장은 A 지역에 있고 유통 창고는 B, C, D 지역에 있을 수도 있다. 한 창고가 작은 창고들을 지원하는 경우 이 창고를 일반적으로 지역 보급소라 한다.
Distributor
유통업자. 제품을 직접 제조하지 않고 완제품을 창고에 관리하면서 이런 제품을 사고 되파는 일을 하는 사업 혹은 사람을 지칭한다.
Downstream Operation
하위공정. 현재 계획 또는 수행 중에 있는 작업의 후속 작업을 지칭한다.
DSD (Direct Store Delivery)
점포 직접 배송(납품). 공급업체가 상품을 유통업체의 물류센터를 경유하지 않고 점포로 직접 배송(납품)하는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물류유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물류사전] F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0) 2025.02.03 [유통물류사전] E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0) 2025.02.02 [유통물류사전] C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1) 2025.01.31 [유통물류사전] B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0) 2025.01.30 [유통물류사전] A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0) 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