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통물류사전] B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물류유통용어 2025. 1. 30. 01:00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 국제표준 용어집 

     

    Backroom

    점포 창고. 점포* 내 구역으로서 제품이 판매되거나 매장으로 옮겨지기 전 제품을 보관하는 장소를 지칭한다.

     

     

    Bar Gain/Loss

    바 번짐/손실. 복사 및 인쇄 과정의 영향으로 바코드 폭이 증가/감소하는 것을 지칭한다.

     

    Barcode

    폭이 다른 검은 바(Bar)와 흰 바(Space)의 조합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표시하는 자동인식기술의 한 가지. 스캐너 등 판독기는 검은 바 및 흰 바의 폭과 반사도 차이를 구분함으로써 입력된 데이터를 인식 한다. 검은 바와 흰 바가 단층 1열로 배열되어 있는 바코드를 1차원 또는 선형 바코드(Linear Barcode) 라고 하며 다층 또는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바코드를 2차원 바코드(Two Dimensional Barcode)라고 한다.

    현재 판독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검증되어 ISO에 의해 국제표준으로 지정된 바코드는 Code 39, Interleaved 2 of 5, EAN/UPC, Code 128, GS1 DataBar(이상 1차원 바코드),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맥시코드(Maxicode), QR 코드, PDF417(이상 2차원 바코드) 등이 있다.

    1차원 바코드에는 주로 식별코드만 입력되는데, 이 식별코드가 컴퓨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불러오는 접근키(Access Key)로 사용된다. 반면 2차원 바코드는 이 같은 접근키의 역할은 물론 그 자체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1차원 바코드 중 Interleaved 2 of B B | 12 Glossary of Global Standard Terms on Distribution and Logistics 5와 EAN/UPC는 숫자만 입력가능하고 Code 39와 Code 128은 ASCII 문자 세트를 모두 또는 일부 입력 할 수 있다. 2차원 바코드에는 모든 문자(숫자 포함)는 물론, 기호, 이미지까지 입력할 수 있다.

     

     

    Barcode Verification

    바코드 검증. ISO/IEC 표준에 기반하여 바코드 인쇄 품질을 평가하는 것을 지칭한다. 검증 시 ISO/IEC 표준을 준수하는 검증기(Verifier)를 사용해야 한다.

     

     

    Batch/Lot Number

    배치 번호. 제품의 특정 배치 또는 생산 가동과 관련된 일련번호로서, 추적 목적으로 사용된다.

     

     

    Bearer Bars

    테두리 바. 바코드 상단 혹은 하단에 인접해 있는 바 혹은 전체 심벌을 둘러싸고 있는 테두리를 말한다. 바코드 표면 전체 위로 인쇄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하고, 바코드 상단이나 하단쪽으로 판동광선이 비스듬하게 통과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B/L (Bill of Lading, BOL)

    화물 인수증. 선적자와 운송업체 사이의 계약 조건이 포함된 운송 계약 문서이다.

     

     

    Bullwhip Effect

    채찍효과. 예측 가능한 장기적 변동을 제외하고 나면 대개의 제품에 대한 최종 소비자의 수요는 그 변동 폭이 크지 않다. 그러나 공급망을 거슬러 올라갈수록 이 변동폭이 커지는 현상이 발생되면서 채찍효과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채찍효과는 소를 몰 때 쓰는 긴 채찍의 경우 손잡이 부분에서는 작은 힘이 가해져 끝 부분에서는 큰 파동이 생기는데 착안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즉 공급망에 있어서 소비자 수요의 작은 변동이 제조업체에 전달될 때는 확대되므로, 제조업체 입장에서 는 수요의 변동이 매우 불확실하게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의 왜곡 현상으로 공급망 전체로는 재고가 많게 되고 고객에 대한 서비스 수준도 떨어지며 생산능력 계획의 오류, 수송상의 비효율, 생산계획상의 난맥 등과 같은 악영향이 발생하게 된다.

     

     

     

    B2B (Business-to-Business)

    기업 간 전자상거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의 유형 가운데 하나로, '기업간 거래' 또는 '기업 간 전자상거래'라고도 한다. 거래 유형은 구매자가 운영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다수의 판매자가 접속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는 구매자 중심형, 이와 반대로 판매자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다수의 구매자가 접속하여 거래하는 판매자 중심형, 중개용 사이트에 다수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접속하여 거래하는 중개자 중심형으로 구분한다. 기업들이 온라인상에서 상품을 직거래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시간도 절약할 수 있다 는 장점이 있다. 초기에는 주로 부품이나 기계, 원료, 소재 등의 산업재를 거래하다가 오늘날에는 제조와 유통, 서비스 등 을 포함하여 기업이 제공하는 모든 물품과 서비스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었다.

    한편, 기업과 정부 사이에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는 B2G(Business to Government), 기업과 소비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전 자상거래는 B2C(Business to Consumer)라고 한다.

     

     

    B2C (Business-to-Customer)

    기업과 소비자 간 전자상거래. 일반적으로 인터넷쇼핑몰을 통한 상품의 주문 판매를 뜻한다. 기업과 소비자 간의 직접 거래로 인해 중간 단계의 거래가 제외되므로 소비자는 할인된 가격으로 물품을 구입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통해 B2C는 인터넷상에서 물품의 구입과 판매가 일어나는 전자상거래의 급격한 성장을 일으켰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