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통물류사전] J, L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물류유통용어 2025. 2. 6. 01:10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 국제표준 용어집 

     

    JIT (Just-In-Time)

    입하재료를 재고로 두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상품관리방식. 재고를 제로로 하여 재고비용을 극단적으로 압축하려는 것으로 재료가 제조라인에 투입될 때에 맞추어 납품업자로부터 반입되는 이상적인 상태에 접근하려는 것이다.

    일본의 제조업, 특히 도요다 자동차회사가 발전시킨 광범위한 제조업 철학으로서, 재고 누적, 불량품 발생, 불필요한 자재운반이나 준비시간 등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낭비요인을 제거 또는 최소화함으로써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및 품질의 향상을 그 목표로 한다.

     

     

    JTC1 (Joint Technical Committee 1)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분야의 표준을 개발하기 위해 ISO와 IEC가 공동으로 설치한 기술 위원회 중의 하나

     

     

     

    Lead Time

    제품의 조달시간 또는 생산을 위한 사전준비를 위하여 필요시 되는 선행기간. 일반적으로는 어떤 제품이 ‘발주’되면서부터 주문 받은 제품이 실제로 전량 ‘납품 완료’ 되기까지 소용되는 전체적인 시간을 말한다.

     

    Lead time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Manufacturing Lead Time (제조 소요시간: MLT)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 (단, 구매 프로세스에서 소요되는 시간은 제외)

    ▣ Cumulative Lead Time (총 소요시간: CLT) 제품을 생산하여 고객에게 판매하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간. 즉, 구매, 제조, 조립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

    ▣ Delivery Lead Time (납기 소요시간: DLT) 고객이 기대하는 납기, 즉 주문을 받고부터 물건을 전달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LIFO (Last-In-First-Out)

    후입선출법. 회계 목적에서 재고 가치 평가 시 사용되는 방법의 일종이다. 최근에 들어온 것이 우선적으로 쓰이거나 팔리는 것을 말한다.

    [비교] FIFO

     

     

    Linear Barcode

    선형 바코드. 폭이 다른 어두운 바(Bar)와 밝은 바(Space)를 이용하여 1차원 형태로 표현한 바코드 심벌

     

     

    Load

    부하. 제조 설비에 들어가기에 앞서 계획된 작업량으로 일반적으로 작업 시간이나 제품 단위를 표현한다

     

     

    Location Reference

    로케이션 참조번호. GLN 코드의 일부로서, 동일한 업체 내에 있는 서로 다른 실체(Entity) 즉, 특정 로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해당 업체가 할당하는 숫자 부분. 로케이션 코드 또는 GLN(Global Location Number)은 GTIN-13의 데이터 구조를 가진다. 즉, 13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가식별코드, 업 체식별코드, 로케이션 참조번호, 그리고 체크디지트(검증번호) 등 4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Logistic Unit

    공급망 상에서 효율적인 운송 및 보관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단품의 포장단위. 주로 팔레트나 컨테이너를 지칭한다.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물류단위(大박스)도 GS1 시스템의 정의에 따르면 거래단품이라고 부르는 것이 원칙이다.

     

     

    Logistics Standardization

    물류 표준화. 물류 표준화란 포장, 하역, 보관, 수송, 정보 등 각각의 물류기능 및 단계의 물동량 취급단위를 표준 규격화하고 이에 사용되는 기기, 용기, 설비 등을 대상으로 규격(치수), 강도, 재질 등을 통일시키는 것을 말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규격의 표준화로, 특히 물류 표준화의 추진을 위해서는 일관수송용 표 준 팔레트를 중심으로 유닛 로드시스템(Unit Load System)의 구축이 시급한 과제가 된다.

     

     

    Loose Produce

    낱개 청과상품. 박스나 케이스에 담겨 입점되는 과일이나 채소를 지칭한다. 이들 상품은 낱개로 판매되거나 소비자가 원하는 만큼 비닐봉지 등과 같은 담을 것(Bag)에 담아 판매된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