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통물류사전] S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물류유통용어 2025. 2. 10. 01:20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 국제표준 용어집 

     

    SCM (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관리. 공급망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주체 - 공급업체, 제조업체, 물류업체, 유통업체 - 들이 협력을 바탕으로 정보기술(IT)을 활용하여 원재료의 공급단계로부터 소비자에게 완제품이 인도되는 시점까지 상품의 물리적인 흐름과 정보의 흐름 및 자금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비용절감(효율증대)과 소비자 만족 극대화를 달성하려는 경영기법을 말한다.*

    * SCM은 각 산업별로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식료품 산업은 ECR(Efficient Consumer Response), 섬유산업은 QR(Quick Response), 의약품산업은 EHCR(Efficient Healthcare Response), 식자재 산업은 EFR(Efficient Foodservice Response)이다. 명칭은 다르지만 추구 하는 목표는 동일하다.

     

     

    SC31 JTC1

    산하 하부 기술위원회(Sub-Committee)의 하나. ISO-IEC 간의 조정으로 정보 기술의 국제적인 표준화 작업을 합동 관리하기 위해 1987년에 설립된 공동기술위원회인 JTC1의 31번째 하부 기술 위원회이다. 자동식별 및 데이터인식 기술(ADC) 관련 표준 개발을 담당하고 있으며. 주로 자동 식별 확인 및 데이터 인식 절차를 위한 데이터 형태(Data Format), 데이터 구문(Data Syntax),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기술 표준화가 주요 과제이다.

     

    총 6개의 워킹그룹에서 바코드(Data Carrier),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 무선데이터인식(RFID), 실시 간 위치 추적 시스템(RTLS)*, 모바일 품목 식별관리(MIIM)**, 보안(Security) 표준 제정을 각각 담당하고 있다. 현재 GS1 US가 사무국을 맡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기술표준원이 한국을 대표하여 정회원 (P-member)***으로 가입되어 있다.

    * RTLS(Real Time Locating System) :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 근거리 통신 기술(Wi-Fi, 블루투스, RFID등)

    ** MIIM(Mobile Item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 모바일 품목 식별관리

    *** P-member는 한 국가 당 하나의 기구에게 자격이 주어지며, JTC1 또는 SC 내의 투표를 통해 상정된 표준안에 대한 승인, 불승인 등의 결정을 할 수 있는 투표권과 JTC1이 규정한 표준화 관련 의무를 행사할 권한을 갖는다.

     

    국가기술표준원은 한국표준협회를 간사기관으로 하여 정보산업분야 전문위원회를 구성하여 각 SC별 국제회의 참가 및 개최, 국제표준문서 분석, 투표문서 검토 등의 표준화 활동에 있어 국가적 합의를 도출하고 있다. 

     

     

    SC31과 JTC1의 관계

     

    SGLN (Serialized Global Location Number)

    글로벌 로케이션 코드(GLN)를 EPC 태그에 입력하기 위해 정의된 코드체계. 현재 64비트와 96비트가 정의되어 있으며, 일련번호 필드는 사용되지 않는다. SGTIN (Serialized Global Trade Item Number) 이미 사용 중인 GS1 표준코드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동시에 일련번호를 부가할 수 있도록 고안된 EPC 코드체계. 체크디지트는 코딩에서 제외되며 현재 SGTIN-64(64비트)와 SGTIN-96(96비트)이 정의되어 있다.

     

     

    Shelf Life

    재고기간. 일정 품목이 폐기되기 전까지 재로로 존속되는 기간을 말한다. 유통기한도 포함된다.

     

     

    Shipping

    선적. 부품, 제품 및 부분품에 대한 배송을 준비하는 것. 인식표 부착, 중량 평가, 선적을 위한 적하를 포함한다.

     

     

    Shrinkage

    감손. 보관되거나 가공되거나 혹은 이동 중인 재고의 실제 수량이 감소하는 것. 폐기, 도난, 진부화(Obsolescence), 증발에 의하여 야기될 수도 있다.

     

     

     

    SKU (Stock Keeping Unit)

    재고보관단위. 재고관리를 위한 상품 분류의 최하 단위로서 EAN-13 또는 EAN-8이 부착되는 상품 단위(단품)와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업체의 관행에 따라 SKU의 개념이 약간 다 르게 사용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동일한 제조업체가 생산한 기저귀라고 할지라도 A 유통업체에서는 ‘남아용 기저귀 XX, 30개 들이’를 실속형, 고급형, 저가형에 관계없이 하나의 SKU로 관리하는 반면, B 유통업체에서는 동일한 ‘남아용 기저귀 XX, 30개 들이’를 실속형, 고급형, 저가형으로 나누어 각각 하나의 SKU로 지정하여 활용하기도 한다.

     

     

    Source Marking

    소스마킹. 소매단계가 아닌 제조단계에서 제품에 바코드를 인쇄하는 것을 말한다. Specification 기술서. 어떤 제품이 규격에 부합되는 지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재료, 물품, 용역, 절차 등의 기술적 필요 조건을 분명하고 정확하게 빠짐없이 기술한 목록을 지칭한다.

     

     

    SSCC (Serial Shipping Container Code)

    수송용기일련번호. 최초 배송인과 최종 수령인*사이에 거래되는 물류단위 중에서 주로 팔레트와 컨 테이너 같은 대형 물류단위**를 식별하기 위해 GS1이 개발한 18자리 식별코드체계이다.

    * 최초 배송인은 제조업체 또는 Vendor, 최종 수령인은 통상 유통업체(물류센터)를 말한다.

    ** GS1 물류라벨은 주로 팔레트와 컨테이너에 부착되지만 필요할 경우 골판지 박스나 기타 물류단위에도 사용 될 수 있다.

     

    소매 상품에 GTIN-13을 부여하는 것처럼 각각의 팔레트 또는 컨테이너에 고유한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이것을 해체하지 않고 수·배송, 입출고를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SSCC 코드구조

     

    Start Character

    스타트 캐릭터. 바코드 심벌의 시작을 알리는 캐릭터를 지칭한다. 데이터의 입력방향과 바코드의 종류를 바코드 스캐너에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Stock

    재고. 재고품. 판매를 위해 저장되는 제품이나 부속품이므로 자체에서 사용하기 위해 저장하는 부품이나 원료와는 구분된다.

     

     

    Stop Character

    스톱 캐릭터. 바코드 심벌의 끝을 알리는 캐릭터를 지칭한다. 스캐너가 바코드 양쪽 어느 방향에서든지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해준다.

     

     

     

    Substrate

    바코드가 인쇄되는 물질의 표면부.

     

     

    Symbol Character

    심벌 캐릭터. 바코드 심벌에서 하나의 단위(Single Unit)으로 해독되는 일련의 검은 바와 흰 바의 조합을 지칭한다. 이것은 하나의 숫자, 문자 또는 구두점이 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문자가 될 수도 있다.

     

     

    Symbology Identifier

    심벌 식별자. 데이터를 표시하고 있는 데이터 캐리어(Data Carrier, 예: 특정 바코드 심벌)를 식별하기 위해 해독된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일련의 문자들을 지칭한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