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통물류사전] T, U로 시작하는 물류용어물류유통용어 2025. 2. 11. 01:22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 국제표준 용어집
TL (Truckload Lot)
트럭선적 로트. 최소 무게나 단위 때문에 최저 화물 비율로 적합하다고 정한 트럭 선적량을 지칭한다.
Total Quality Control
전사적 품질관리. 설계에서 운송까지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조의 모든 단계를 관리의 대상에 포함시키는 방법.
공정관리, 관리에 편하게 해놓은 품질, 지시 순응, 라인정지, 작업자 개인의 결점보완, 완전한 점검, 다음 계획은 전 계획보다 발전된 것이어야 한다는 것 등이 전사적 품질 관리의 기본요소이다.
Traceability
생산이력 관리 또는 이력추적 관리. 최근 전자태그(RFID)와 더불어 유비쿼터스 분야에서 각광받는 개념이다. Traceability가 특정 물품이 생산자에서 소비자에게까지 가는 과정상의 이력 관리에 초점을 맞춘 광의의 의미라면 RFID는 Traceability 구현을 위한 매체(바코드·IC칩 등) 가운데 가장 지능적인 기술로 인기를 끌고 있다.
초기에 안전한 먹을거리의 확보를 위해 농·수·축산물 분야에서 가장 먼저 도입했으나 차츰 유통·물류 전 분야에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고객관리(CRM) 같은 첨단 경영기법으로도 응용될 전망이다. 특히 생산자 정보는 물론이고 유통 단계마다 이력 추적이 가능해 어느 시점, 어느 단계에서 무슨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즉시 문제를 시스템 상에서 해결 가능해 실시간기업(RTE) 을 구현하는 데 최적의 툴로 인식되고 있다.
Truncation
바코드 높이 축소. 바코드 심벌 표준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보다 더 짧게 바코드 높이를 축소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정상 범위를 벗어난 바코드 높이 축소는 판독 오류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UCC (Uniform Code Council)
미국상품코드관리기관. 2002년 11월 EAN 인터내셔널의 회원기관으로 흡수 통합 되었고 2005년 GS1 발족 후 현재 GS1 US로 운영되고 있다.
Unit Load
수송, 보관, 하역 등의 물류활동을 합리적으로 하기 위해 여러 개의 물품이나 포장화물을 기계나 기구에 의한 취급이 적합하도록 하나의 단위로 정리한 화물.
유닛로드 시스템(Unit Load System)이란 하역 방식의 혁신에 의해 수송합리화를 도모하는 것으로 화물을 일정한 표준의 중량, 혹은 체적(體積)으로 단위화시켜 기계력으로 일관해서 하역, 수송하는 방식으로 보통 팔레트(Pallet), 컨테이너(Container)가 사용 된다. 유닛로드 시스템은 협동일관 수송(Intermodal Transportation)의 전형적인 수송 시스템으로 하역의 기계화 및 합리화, 화물 파손방지, 적재의 신속화, 차량 회전율 향상 등을 가능하게 해준다.
Unit Load System
수송단위를 합리적인 크기로 정돈해서 중간 하역작업 없이 배송처에서 사용처로 수송하는 방식.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화(Containerization), 팔레트화(Palletization) 등으로 포장경비가 적게 들고 기계하역이 가능하다.
UNSPSC (United Nations Standard Products & Services Code)
UN 표준 상품 및 서비스 분류 코드. 1999년 UN 산하 UNDP(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가 전자상거래를 위해 개발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분류코드이다. UN의 공통코드 시스템과 던 앤 브래 드스트리트(Dun&Breadstreet)의 표준 상품 및 서비스 코드가 통합되어 만들어 졌다.
동 분류 코드는 세그먼트(Segment, 2자리), 패밀리(Family, 2자리), 클래스(Class, 2자리), 커머디티(Commodity, 2자리)의 총 4단계 8자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8자리 코드 이외에 비즈니스 기능(Business Function) 2자리 코드를 추가할 수 있다.
현재 동 분류체계의 소유권은 UNDP에, 관리권은 GS1 US, 그리고 한국어 번역권은 GS1 Korea(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이 각각 보유하고 있다.
유통물류진흥원
www.gs1kr.org
UNSPSC 구성 및 예시 ▣ 세그먼트(Segment) : 분석적인 목적을 위한 패밀리의 논리적 집단 (예: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장비/액세서리)
▣ 패밀리(Family) :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상호 관계가 있는 상품의 카테고리 그룹 (예: 캠핑 및 아웃도어 장비/액세서리) ▣ 클래스(Class) :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는 커머디티의 그룹 (예: 캠핑가구)
▣ 커머디티(Commodity) : 특정 제품과 서비스 (예: 캠핑 탁자)
▣ 비즈니스 기능(Business Function) : 커머디티를 제공하는 조직이 수행하는 역할, 비즈니스 기능이 정의되지 않은 경우 00으로 표기 (예: 임대)
UNSPSC 운영 UNSPSC 표준 개정절차 UPC (Universal Product Code)
미국과 캐나다 지역에서 통용되는 상품식별코드. 미국상품코드관리기관(UCC)과 캐나다상품코드관리기관(ECCC)이 GS1(舊 EAN International)으로 통합되기 전 북미지역에서 사용되던 상품식별코드로, 통합 이후에도 여전히 북미지역 일부 유통업체의 경우 이 코드를 사용한다.
UPC는 크게 12자리로 이루어진 표준형(UPC-A)과 8자리로 이루어진 단축형(UPC-E)으로 구분되며 EAN 코드의 경우 별도의 단축형 코드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UPC의 경우에는 독자적인 단축형 코드체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12자리 표준형의 구성형태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표준형의 코드구조는 다음과 같다.
UPC 표준형(UPC-A) 코드구조 UPC Prefix는 UPC 코드의 첫 번째 자리에 위치하는 한 자리 숫자로 GS1 US(舊 UCC)가 코드 신청 업체의 생산품을 고려하여 부여하는데 통상 해당 상품의 종류 또는 용도에 따라 결정된다. 업체코드 또한 GS1 US가 등록업체에게 부여하며 상품코드는 코드 신청업체가 임의로 부여한다.
UPC Prefix
UPC 코드의 첫 번째 자리에 위치하는 한 자리 숫자. GS1 US(舊 UCC)가 코드 신청 업체의 생산품을 고려하여 부여하는데 통상 해당 상품의 종류 또는 용도에 따라 결정된다.
부여기준은 다음과 같다:
▣ 2 : 가변규격상품(농축산물 등)
▣ 3 : 의약품, 건강관련 상품
▣ 4 : 업체 내부 사용용(인스토어 마킹)
▣ 5 : 쿠폰용
▣ 0, 6, 7, 8 : 위의 경우를 제외한 상품에 부여
▣ 1, 9 : 유보
'물류유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물류의 기초 (0) 2025.02.13 [유통물류사전] V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0) 2025.02.12 [유통물류사전] S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1) 2025.02.10 [유통물류사전] Q, R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1) 2025.02.09 [유통물류사전] O, P로 시작하는 물류용어 (0) 202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