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 재고관리 목적과 계산물류유통용어 2025. 3. 24. 23:01
재고(Inventory)의 정의와 필요성
1. 경제적 가치를 지닌 유휴상태의 자원
2. 미래에 사용하기 위해 기업이 준비하여 보관하고 있는 유휴의 원자재, 부품, 재공품, 완제품 및 비품
3. 원자재 재고를 보유함으로써 생산활동의 독립적 운영 가능
4. 완제품 수요가 불확실한 경우 재고를 통해 제품 수요의 변동폭에 대처
재고의 종류
1. 수송중 재고 : 원자재 공급자에서부터 생산자의 자재창고까지 이동 중이거나 생산자의 창고에서 물류거점이나 수요자로 이동 중인 재고
2. 투기성 재고 : 물류관리보다 재무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비용절감이나 투기를 목적으로 가격이 낮을 때 매입하는 재고(금, 은, 동과 같은 원자재)
3. 안전재고 : 평균수요와 평균조달기간을 충족시키기 위한 재고로서 조달기간 동안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재고
4. 불용(침몰) 재고 : 재고기간동안 손상, 분실 및 진부화된 재고
재고관리의 목적
1. 재고투자나 재고비용의 절감
2. 운전자금의 원활화
3. 품절 방지를 통한 서비스율 향상
4. 매출기회의 창출
5. 조업의 안정화
재고관리 비용
1. 주문(발주)비용 : 필요한 물품을 외부에서 구입할 때 구매 및 조달에 수반 하여 발생하는 비용(주문발송비, 통신비, 물품수송비, 하역비, 검사비, 입고비, 통관료 등)
2. 준비비용 : 필요한 물품을 외부에서 구입하지 않고 기업 자체에서 생산할 때 발생하는 비용(노무비, 설비 및 기기 교체비, 원료 준비비 등)
3. 재고유지비용 : 재고보유시 발생하는 비용(창고사용료, 창고유지관리비, 보험 료, 세금, 이자(재고에 투하된 자금에 대한 기회비용), 진부화비용 등)
4. 재고부족비용 : 재고부족으로 인한 생산중단, 판매기회 손실, 고객신용 하락
* 총재고비용 = 주문비용(준비비용) + 재고유지비용 + 재고부족비용 * 따라서 총비용을 최소화하면서 고객서비스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
재고관리 관련 지표
1. 서비스율
- 주문량 대비 납품량으로 산출
- 서비스율 = 납기 내 납품량(액) / 수주량(액) X 1002. Back Order율
- 주문량 대비 결품량으로 산출
- Back Order율 = 결품량(액) / 주문량(액) X 100
3. 재고회전율
- 재고수량을 최소화하여 재고회전율을 높이는 것이 이상적
- 재고회전율 = 일정기간의 총매출액 또는 총소비량 / 평균재고액 또는 재고량
- 평균재고액(량) = 기초재고액(량) + 기말재고액(량) / 2
- 일평균재고액 = 재고합계액 / 수요(출고) 일수
- 재고일수 = 현재 재고량(액) / 월평균 출하량(액) X 30일
- 재고유지비 = 평균재고량 X 단위당 구매가격 X 단위당 재고유지비율(%)
* SKU(Stock Keeping Unit) : 재고유지단위란 재고관리의 상품단위로 형태, 모습, 기능 등이 동일한 품목으로 정의되고 있는 단위
- 안전재고량 = 안전계수 X 수요의 표준편차 X 루트(조달기간 즉 리드타임)
* 안전계수는 서비스율이 95%(결품율 5%)일 때 정규분포 통계값으로 t =1.65
4. 재발주점(ROP : Re Order Point)
- 재발주점 = (조달기간 X 일일소요량) + (안전계수 X 표준편차 X 루트(조달기간)) 일일소요량 = 연간판매량 / 연간영업일수 또는 연간생산량 / 연간작업일수
'물류유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항공운송 개념과 특징 (0) 2025.03.25 23. 자동화창고 개념과 필요성 (0) 2025.03.23 22. 공동수배송 정의와 방법 (0) 2025.03.22 21. 신용장이란? (0) 2025.03.21 20. 해상보험 용어 정리 (0)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