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용어
1. 영화산업용어 (A, B, C, D, E, F, )
해서리_
2025. 2. 1. 13:03
2003년 (당시) 문화관광부에서는 영화 용어와 언론 외래어를 다음과 같이 순화했습니다.
그 내용을 정리한 문서입니다. 참고하세요. :)
외래어(국)어 표기 | 원어 | 뜻풀이 | 순화한 용어 |
아트 하우스 | art house | 상업 영화권 외에 속한 작품들로 대중적 인기보다 영화사적 측면에서 고려 가치가 있는 영화들을 전용으로 상영하는 극장. | 예술 영화 전용관 |
브레이크 이븐 포인트 | BEP (break even point) | 영화 제작비, 배급비, 마케팅비 등 소모 비용과 영화 관객 수 즉 수익이 일치하는 지점. | 손익 분기점 |
블라인드 비딩 | blind bidding | 영화를 보지 않고 작품 상영권을 교섭하는 행위. | 사전 구매 |
빌링 | billing | 1. 영화의 인물 자막에 소개되는 출연자 서열이나 규모 명단. 2. 영화 과금 체계. |
① 출연자 서열 ② 과금(課金) |
블록버스터 | blockbuster | 흥행을 목적으로 대규모 스케일과 제작비를 투자한 대형 영화 혹은 이미 흥행에 대대적인 성공을 거둔 영화. | ① 흥행 대작 ② 초대형 영화 |
블록 부킹/ 블라인드 부킹 |
block booking/ blind booking |
인기 흥행작 혹은 대작에 이류, 삼류 영화를 끼워 판매하는 행위. | ① 끼워 팔기 ② 일괄 구매 |
부킹 | booking | 영화관 선정, 작품 편수, 수입액의 배분비 등을 명시화한 배급자와 극장주 간의 거래 및 계약. | 상영 계약 |
체인지 인 | change in | 극장에서 이전 영화를 내리고 새 영화를 거는 행위. | 새영화 상영 |
체인지 오버 | change over | 극장에서 관객 수가 일정 정도 못 미칠 경우 신규 영화를 걸기 위해 기존 영화를 내리는 행위. | (영화) 종영 |
센서십 | censorship | 일정한 기준에 의해 영화 소재 제한, 연령별 입장 제한 등을 구분하는 등급의 결정. | 검열 |
시니플렉스/ 멀티플렉스 |
cineplex/ multiplex |
하나의 건물에 여러 개의 상영관을 갖춘 극장. | 복합 상영관 |
딜 메모 | deal memo | 영화 견본시에서 정식 계약이 아닌 약식 계약서로 계약하는 방식, 추후 세부 계약서로 계약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 | 약식 계약서 |
드라이브 인 시어터 | drive in theater | 주차 공간을 이용해 차 안에서 영화를 감상하는 대형 야외 극장. | 자동차 전용 극장 |
디스트리뷰션 | distribution | 제작된 영화가 일반 상영관에 공급되는 과정. | 배급 |
엔드 크레디트 타이틀/ 클로징 크레디트 |
end credit title/ closing credit |
영화 끝부분에 나오는 인물 자막으로 영화에 관계되는 모든 사람들의 이름 자막. | 종료 자막 |
피처 필름 | feature film | 극장 상영을 목적으로 제작한 장편 극영화. | 장편 (극)영화 |
퍼스트 런 | first run | 제작이 완료된 영화를 영화관에서 처음으로 유료 공개하는 상영. | 개봉 |
외래어(국)어 표기 | 원어 | 뜻풀이 | 순화한 용어 |
포 - 월링 | four-walling | 영화관을 전세 내어 작품을 개봉, 배급하는 방식. | 독자 상영 |
플랫 딜 | flat deal | 추가 저작권료 없는 단매 방식. | 단매(單賣) |
필름 페스티벌 | film festival | 영화 축전으로, 다양한 영화를 한 곳에서 보면서 관객과 영화 만든 이가 어울리는 잔치. | ① 영화 잔치 ② 영화 (축)제 |
필름 마켓 | film market | 영화 투자, 판매, 구매하는 이들을 함께 모아 여는 전시장 및 견본 시장. | 견본 시장 |
토털 그로스 | GR (total gross) | 영화 배급, 상영 시 극장에서 티켓 판매에 따라 현금으로 들어오는 총수익. | 총수익 |